'문화'라는 용어처럼 '비문화'적인 용어는 없을게다. 그래서 요즘 문화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 쓰임새에 따른 대상도 구별 않는다. 그냥 쓰면 된다. 체면이나 체통도 필요없다. 어디에다찍어 발라도 붙어만 있으면 묘하게도 문화적인 냄새를 풍기는게 또한 '문화'라는 용어다.*양심속이면 죽은 문화
문제는 '문화적'이라는데 이미 우리가 매우 병약해 있다는 사실이다. 아무리 비문화적인 것이라해도 이 글자만 붙어 있으면 문화적이 되어 가는 착각을 일으킨다. 그것이 무슨 문화이건 우리들은 그 문화를 문화로 간주하는 일에 지나치게 관대하고 헤퍼진다. 순치된 짐승처럼 돼버린 것이다. 양심을 속인 문화는 죽은 문화인데도 그런 죽은 문화마저 문화로 쳐주는 요즘이다. 북극을 향해 항상 불안하게 떨고 있는 지남철 바늘이 어느 날 그 떨림을 멈췄을 때는 이미 지남철이 아니듯이, 양심을 속인 문화는 결코 문화가 될 수 없는데도 문화가 되고 있는 것이다.임기 2년을 겨우 넘긴 자치단체장들이 문화라는 닉네임 얻기를 즐겨 한다. 문화시장이요 문화지사임을 기회 있을때마다 강조한다. 스스로 문화시장이요 지사라고는 차마 말 못하더라도 적어도그런 뉘앙스만은 풍기려고 부쩍 노력하는 모습이다. 마치 경쟁에나 걸린 모양새다. 그 모양새가때로는 안스럽게 여겨진다. 오비이락일까. 차기를 의식하는 것 같기도 해 더 안스럽다.*단체장 '문화사랑' 타령
다른 행사에도 마찬가지겠지만 웬만한 문화행사는 놓치지 않는다. 음악회나 전시회 또는 연극공연에도 얼굴이 자주 띈다. 천편일률적인 팸플릿의 인사말도 빼 놓을수 없다. 참 좋은 현상이다.비서진들이 지나치게 좋은 좌석을 확보하려 호들갑을 떠는 통에 간혹 관객들이 눈살을 찌푸리는게 탈이기는 하지만 따지고 보면 이건 별 탈은 아니다. 그런것보다 이만한 열정과 관심을 가진것치고는 현재의 우리지역 문화토양이 너무 척박하고 기반 시설 또한 너무 취약하다는 점이다. 이를 어떻게 풀이하고 설명할 수 있을까. 순수한 관객의 입장만을 고집한다면 이야기 할 필요가 없다. 이러고도 문화가 경제를 담는 그릇 노릇을 과연 하고 있는 것인가.
*경주망치는 '文化'엑스포
경주를 저렇게 엉망으로 만들어 놓고도 성이 차지않아 문화엑스포를 연다. 엄청난 예산이 들테지만 계산이야 따로 있겠지.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글쎄하고 고개를 갸우뚱한다. 미덥지 못하다는표정이다. 떡잎 보면 안다고 일부에서는 매우 비판적이다. 계획서를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먹자판이요 놀자판이다. 중국 당나라 때의 시성 두보(杜甫)는 뜻이 있고서 시를 지었다. 그 때문에독자를 감동 시킬수가 있었던 것이다. 새겨 볼 만한 대목이다.
지금 우리에게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단색적인 사고다. 목욕물과 함께 아이까지 내다 버리는 단색적인 사고. 이런 사고에 가령 문화라는 겉색이 칠해진다면 결과는 끔찍하다. 단색적인 사고는이렇게 위험하다. 겁나는 사고다. 목욕물 이야기가 나온 김에 이런 상상을 해 본다. 우리 동네에목욕탕이 하나 새로 생겼다. 이름이 문화목욕탕. 아침 저녁으로 이 목욕탕에 가서 샤워를 하면 문화인이 될까.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