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홍콩반환 카운트다운-(3)개발의 원동력

"오는 7월1일 식민지 156년 마감"

중국 남단의 작은 어촌 홍콩이 오늘날 아시아의 손꼽히는 국제도시로 성장하게 된 원동력은 무엇일까.

고층건물이 빽빽히 들어선 상업도시 홍콩의 경제적 발전은 민주주의와 합리성을 앞세운 영국의식민통치와 자신의 권리를 찾기 위한 홍콩주민의 용감한 투쟁이 어우러진 결과였다.사실 영국의 식민통치가 처음부터 민주적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홍콩을 단순한 무역 중계항으로여겨 주민들의 생활이나 산업시설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던 영국 식민정부(홍콩 정청)는 홍콩주민들에 대한 가혹한 인종차별정책을 폈다.

예컨대 주거권이 영국인을 비롯한 서구인으로 제한된 센트럴 뒷산 정상에는 '개와 중국인은 출입금지'라는 경고판이 붙을 정도로 홍콩주민들은 사람취급을 받지 못했다. 생활환경도 낙후해 1970년대초만 해도 홍콩섬 중심가인 완차이(灣仔), 노스포인트(北角) 등의 산동네는 비만 오면 산사태로 인명피해가 커 소방서와 경찰이 1급 경계태세에 들어갈 정도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중국과의 무역이 금지돼 타격을 입기 시작한 홍콩은 대륙의 공산화(1949년)이후 홍콩에 피난온 상해(上海) 출신 자본가들과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섬유산업을 일으키게 된다.이어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계속된 중국 문화혁명을 피해 홍콩으로 유입된 값싸고 풍부한 노동력을 이용, 수출 증대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사회간접시설 확충과 주민 생활개선에 대한 홍콩정청의 관심이 높아진 것도 이때부터였다. 1984년 중국·영국간의 홍콩주권 반환 합의 이후에는 민주화와 인권 개선을 위한 노력이 계속됐다.

홍콩정청의 이같은 정책 추진 이면에는 영국과 영국계 기업의 이익을 위한 교두보 확보의 의미가큰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엄정한 법치(法治)와 부정부패를 방지하는 우수한 공무원제도로 규율과기강을 확립하는 한편 경제에 관한한 완전한 자유 방임주의를 채택, 자본주의 경쟁력을 높인 식민통치의 역할이 컸다는 점도 부인하기 어렵다.

여기다 영국의 혹독한 식민통치에 대한 홍콩주민들의 거센 저항도 한몫을 했다. 영국이 홍콩섬에이어 구룡을 할양받은 1857년이후 산발적으로 벌어진 대영(對英) 저항운동은 1967년 중국의 문화혁명 열기와 맞물려 홍콩사상 최대 규모로 확산된다. 8개월간 홍콩 전역을 마비시키며 51명의 사망자와 8백여명의 부상자를 내고 5천여명이 구속된 저항운동을 계기로 홍콩정청은 주민들의 사회복지, 주택, 의료제도를 개선하는 등 대폭적인 민심수습정책을 펴게 됐다.

지금 홍콩 서민들의 생활은 예전에 비해 훨씬 개선됐고 복지도 크게 향상됐다. 하지만 빈부격차가 워낙 심한데다 청년층의 실업이 늘고 있으며, 신(新)·구(舊) 이민세대간의 갈등이 해소되지않고 있는 등 해결해야할 문제가 산적해있다. 영국식민통치의 유산을 안고 오는 7월 1일 발족하는 홍콩특별행정구가 이같은 숙제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관심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