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갈수록 드세지는 정발협 반이(反李)

"우회는 없다. 충돌도 피하지 않는다"

23일과 24일 신한국당 당내 최대 세력을 자처하는 정치발전협의회(정발협)에서 나오는 목소리는한결 같았다.

23일 "한 번 붙어보자"는 사실상의 선전포고를 한데 이어 24일에는 이회창(李會昌)대표의 대표직을 이용한 대의원 추천을 걸고 넘어졌다. 명백한 불공정사례라는 것이다. "다른 주자들보다 월등히 우월한 입장에서 대의원추천을 독식하는 것은 대표직을 악용한 처사"라고 맹비난 했다.이는 "여기서 막지 못하면 끝장"이라는 위기의식의 발로다. 내색은 않지만 이대표의 경선승리와대선당선이 이어질 경우 과연 정발협 지도부에서'살아 남을 인물'이 몇이나 될까라는 생각도 이들의 행동을 강공일변도로 몰아가는 이유중의 하나다. 정발협의 핵심인사들은 "법조인들과 경기고출신들로 판이 바뀔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정치권인사들의 상당수가 '목숨'을 부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정발협은 이 정도로 이대표에 대해 원천적으로 불신감을 갖고 있다. 야당인사들에 대한 공격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이다."야당과 함께 할 수는 있어도 이대표와 함께 할 수는 없다"는 말까지들린다. 물론 핵심지도부의 생각이다. 아래로 내려올수록 결속력이나 결의의 농도는 흐려진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공개적으로 감히 여기에 제동을 걸 분위기는 아니다.

23일 서석재공동의장이 밝힌 집행위 발표문은 이같은 기류의 결정판이었다.

서의장은 이대표를 '개인적 집착과 오기', '민주주의의 기초적 소양부족'등으로 격하시켰다. 서의장은 이것도 모자라 "대표취임이후 단 한 차례도 당과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고 공격했다.

그래도 이 정도는 약과였다. 정발협은 이날 사실상 이대표는 우리의 논의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사실을 공개적으로 천명했다. "이대표 배제를 검토할 수 있다"는 표현이었지만 이는 그냥 표현일 뿐진작에 이대표는 정발협의 안중에도 없었다.

또 정발협은 이대표가 대표자리를 고수하는 한 신한국당의 중앙당을 인정치 않겠다는 점도 밝혔다. 이날 발표문에는 "경선의 심판자적 기능을 상실한 당을 대신해…"라는 표현도 들어 있었다.이는 주요당직자들 마저 이대표의 사람이라고 분류되는 현실에서 당지도부를 인정치 않겠다는 의미였다.

이대표측과 정발협은 말이 같은 당이지 사실상의 분당상태라고 해도 지나친 표현은 아닐 듯 싶다.

〈李東寬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