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더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올들어서만 벌써 12차례의 지진이 있었고 26일 발생한 지진이 규모면에서 가장 강력한 것이어서지진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동해에서 잇따라 지진이 발생하면서 원자력발전소가 집중 배치돼 있는 동해안 주변지역이 최대 지진화약고로 떠올랐다.
특히 지금까지 울진.월성.고리 원자력발전소를 비롯한 동해안 지역이 비활성단층으로 인식됐으나최근 학계에서 규모 4.0 이상의 중.강진을 일으키는 활성단층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당국과 학계의'대구.경북지역 지진대책'이 시급함을 일깨우고 있다.
지난 5월 서울대 이기화교수, 한국교원대 경재복교수, 일본쿄토대학 등 한일공동연구팀은 "울산시 울주구 삼남면에서 20만~30만년 전에 만들어진 단층구조가 발견됐으며 활성 증거가 있다"고밝힌 바 있다.
'단층이라고 해서 반드시 활동을 하는 활성일 수는 없다'는 반박이 있지만 잦은 지진에 따른주민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다.
지진의 횟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한반도가 지진활동기에 접어들었다는 근거로 제시된다.
지난해 우리나라에는 34차례나 지진이 일어나 92년의 15차례보다 무려 2배이상 증가했다. 93년22회, 94년 25회, 95년 29회를 각각 기록하면서 해마다 큰 증가 추세.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올해도 30차례 안팎의 지진이 발생해 우려할 만한 규모지진이 자주 있었다는 것이 기상대의 설명이다.
이번 지진과 같이 규모 4.0이상의 지진이 일어날 경우 건물이 심하게 흔들려 내구성이 떨어지는것은 불가피하다. 가뜩이나 부실공사 시비로 몸살을 앓고 있는 우리나라 건축현실을 보면 고층아파트에 살고 있는 시민들은 특히 불안하다.
건설교통부는 지난 4월 뒤늦게 대구.경북지역에도 지진에 이길 수 있는 내진설계규정을 강화하는등 지진대책에 나서고 있으나 아직 미미한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사후약방문'에 대한우려가 높을 수밖에 없다.
〈全桂完.崔敬喆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