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97서울대 논술고사 수험생 답안유형

〈 답안 1 〉

생떽쥐페리의 〈어린 왕자〉 중에 어린 왕자와 여우가 만나는 이야기가 있다. 어린 왕자는 친구를 찾다가 여우 한 마리를 만나게 되는데 여우는 친구가 되자는 어린왕자에게 자신을 길들여야한다고 말한다. 여우는 길들인다는 것이 관계를 맺는 것이라고 어린 왕자에게 설명하고 둘은 만나기로 약속한다. 어느날 어린 왕자가 찾아오자 여우는 어린 왕자를 만나게 된다는 것에 행복을느끼기 위해 시간 약속을 하자고 한다. 어린 왕자가 여우를 길들이고 떠나게 되자 여우는 작별선물로 비밀을 가르쳐 준다. 그 비밀은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과 시간을 바쳤기에 왕자의 장미꽃이 중요하다는 것과 자신이 길들인 것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이 왕자와 여우 이야기는 현대 사회의 인간 관계에서 정서적 관계의 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선 어린 왕자와 여우가 만나기 전의 상태에서 현대 사회의 개인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친구가 없어 쓸쓸해 하며 친구를 찾는 어린 왕자와 단지 필요에 의해서 닭을구하고 다른 사람에게 따분함을 느끼는 여우에게서 현대인의 고독과 대중 속에 묻혀 있는 익명성, 그리고 필요에 의한 인간 관계를 볼 수 있다. 즉, 어린 왕자와 여우를 놓고 생떽쥐페리는 현대인의 문제점을 찾아낸 것이다. 이러한 현대인이 인간 관계의 정서적 교류를 잃게 된 것은 점차산업화, 거대화되는 사회변화가 그 원인이다. 거대 사회 속에서 개인의 존재 여부는 별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 개인이 죽는다 해도 사회는 별탈없이 모든 일이 이루어지는것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개인은 존재 의미를 상실하게 된 것이다.

어린 왕자와 여우는 이러한 상황에서 서로 친구가 된다. 친구가 된다는 것은 곧 상대방이 자신에게 특별한 존재라는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전에는 어린 왕자나 여우가 다른 수만 명의 소년이나 여우와 다를 바 없었지만 친구가 됨으로써 특별한 존재가 되는 것이다. 또, 어린 왕자가 여우를 찾아가는 시간도 정하자고 여우는 제안한다. 다른 수많은 시간과 다른 특별한 시간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어린왕자는 장미꽃들에게 자신의 장미꽃은 그에게 특별한 것이며 다른 장미꽃들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특별한 존재가 되는 것이 현대인의 인간 관계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여우가 어린왕자에게 작별 선물로 가르쳐 준 비밀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에게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책임을 필요로 한다. 즉, 타인이 자신의 한 부분이라 생각하는 것이 다른 사람에게 특별한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의미 부여를 하는 당사자들에게만 국한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어린왕자는 다른 장미꽃들에게 그들은 자신에게 아무 것도 아니라 말한다. 그러자 장미꽃들은 어쩔줄몰라 한다. 다른 사람이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면 장미꽃들은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바꾸어생각해 보면 장미꽃들은 여전히 외롭고 대중 속에 묻힌 존재 의미를 상실한 상태인 것이다. 즉,이러한 방법의 의미 부여는 둘만의 관계에 불과하고 보다 높은 차원으로 발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상황에서 의미를 다른 사람에게 부여받지 못한 현대인은 더 고독하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자신에 대해 의미를 부여해야 한다. 나 자신은 다른 어떤존재보다 특별한 존재이며 이러한 사실은 다른 사람에게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자각할 때 현대인의 고독과 소외감은 극복되며 다른 사람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게 된다. 날로 심화되는 군중 속의고독을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존재를 귀중하게 여기고 자기 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 답안 2 〉

TV 농촌 드라마를 보면, 인간 사이의 풋풋한 정(情)이 느껴진다. 이웃끼리 싸우기도 하고, 화해도하고, 그러다가 슬픈 일이면 함께 울고, 궂은 일은 힘을 모아 해결해간다. 이웃과 이웃이 정서적으로 참된 유대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우리의 삶은 그와 같지 않다. 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지내지만,정서적으로 유대 관계를 맺지 못하고 있다. 현대인은 익명의 존재인 것이다. 〈어린왕자〉라는 소설에서 어린 왕자와 여우가 친해져 가는 모습은, 이런인간이 참다운 인간 관계를 맺도록 개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개인이 익명의 존재가 되어 소외감, 외로움을 느끼는 것은 현대 사회의 구조 때문이다. 현대 사회는 거의 모든 일이 분업화(分業化)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일의 단위가 개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분업화된 개인을 맺어 주어서 하나의 일을 해낼 수 있게 해주는 것이 관료제이다. 관료제 내에서는 개인적으로 일을 처리하기 위해, 모든 관계를 맺는 방법을 사무적으로규정해 버린다. 즉, 현대인은 정의적 관계를 맺는 기회는 거의 주어지지 않고, 사무적인 이해 관계를 맺는다. 같은 관료제내에 있는 사람이 아니라도, 대부분 이해 관계에 의해 만나기 때문에 정의적인 관계를 맺기는 힘들다. 현대인은 이처럼 정의적 유대 관계를 맺을 기회가 부족해서 외로움과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물론 이런 구조 속에 속해 있더라도, 개인적 노력으로 얻은 정서적 유대 관계는 정서적으로 위안이 된다. 우선, 사무적 이해 관계에서 부족함을 느끼는 정서적인 관계에 대한 욕구를 해소할 수있다. 그러나 현대인은 거대한 관료제, 분업화 속에서 단지 하나의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사실에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정서적인 유대관계를 맺음으로써 자신이 상대방에게 하나의목적이 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언제라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 아니라, 상대방이 필요로 하고 원하는, 대체될 수 없는 목적이 되었음을 느끼는 것이다. 이로써, 현대인은 수단으로 전락해느끼는 소외감을 덜 수 있다.

이처럼, 개인적인 노력으로 맺은 정서적 유대 관계를 통해, 현대인은 큰 정서적 위안을 얻는다.그러나, 사회 구조는 이러한 개인적 노력에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현대인은 외로움과 소외감을 느낀다. 현대인이 정서적인 유대 관계를 갖는 시간은, 일을 하며 사무적 이해관계를 맺는시간에 비해 훨씬 적다. 따라서, 인간의 노동이 관료제와 분업화 체제하에서 지속되고 있는 한,개인적인 노력에 의한 정서적 유대 관계는 단지 위안이 될 뿐이지 해결은 될 수 없는 것이다. 사회 구조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이미 맺고 있는 정서적 유대관계를 위협할 수도 있다. 정서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과, 이해 관계가 얽힌다면 이해 관계가 상충할 때 정서적인 관계가어그러진다. 또, 이해 관계가 부합할 때는 정서적 관계에 의해 이해관계 해결의 정당성을 의심받을 수 있다.

이런 현대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현대인이 여가시간을 많이 갖도록해 주어야 한다. 여가는 곧 정서적인 유대관계를 맺고, 누릴 수 있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궁극적인 해결을위해서는 분업화와 관료제 체제를 팀에 의한 체제로 바꾸어야 한다. 팀에 의한 문제해결, 즉 노동은 일의 단위가 개인이 아닌 단체이므로 일의 해결과 함께 정서적 유대감을 키울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거대체제의 수단이 아니라, 한 팀에서 중요한 목적적인 존재라고 느껴 소외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이런 변화는 대량생산체계가 소품종 고품질의 생산체계로 변화하며 촉진되고있지만, 사회전체의 노력도 매우 절실하다.

〈 답안 3 〉

요즘 사람들은 대부분 고층 아파트에서 살면서 옆집 이웃과도 몇달에 한번 만날까 말까 하며 바쁘게 산다. 그들은 거대한 조직에 속해 있으면서 가족들의 일에도 무심하기 일쑤다. 이와 같이 현대의 대중은 거대한 도시에서 익명의 존재로 살아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아 상실, 삶의 의미상실로 괴로워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것은 현대 사회로 들어오면서 인구 집중,도시화, 관료제, 대중매체의 횡포 등의 영향을 받은 때문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개인과 개인사이의 참다운 정서적 유대의 강화력은 개인적 차원의 노력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이러한 개인적 차원의 노력은 많은 의의를 지니고 있다. 주변의 아는 사람들과 정서적 유대를 강화함으로써 개인이 직장 생활에서 느끼지 못했던 즐거움을 누리게되고 새로운 삶의 의욕을 느낄것이다. 또한 친구들 사이의 정신적 교감을 주고 받으며 자기 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다. 소설 〈어린 왕자〉에서 여우가 느꼈던 따분함도어린 왕자의 〈길들임〉 즉 정서적 유대관계를 가짐으로써 극복될 것이다.

하지만 개인적 차원의 노력은 문제를 제기한 사회적 조건에 비추어 볼 때 어느정도 한계를 지니고 있다. 위에서 말한 사회적 조건, 인구 집중, 도시화, 관료제, 대중매체의 횡포 등은 사회적 문제로 개인적 차원 속에서 해결될 수 없기 때문이다.현대 사회에 들어서며 중세 근대의 지역 공동체 붕괴 속도가 지속되면서 인구 집중, 도시화 등이 나타난다. 그로 인해 도시에는 셀 수 없을 만에 다니면서 이러한 문제가 나타난 것이다. 여기다 패션 운운하며, 모두에게 똑같은 기준에 맞출것을 강요한 매스 미디어의 횡포도 현대 사회의 대중성, 익명성에 한몫 했다. 이렇게 볼 때 개인적 차원의 노력은 협소하고 말 그대로 개인적 차원의 문제 해결에 불과하다. 더욱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사회 전체적, 제도적 해결책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노력의 방안으로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 공동체적 근무제도의 확립, 인간적 매스 미디어의 추구 등을 들 수 있다.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란 소규모적이고 정(靜)적인 공동체를국가의 기초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로써 개인들의 삶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위해 대도시는 점차적으로 해체되어야 한다. 현재의 관료적 기업형태는 개인들을 고립화시키는경향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규모 프로젝트 그룹을 중심으로 하는 공동체적 근무 제도를 확립해야 한다. 또 현재까지의 수동적인 매스미디어 체계는 틀에 박힌 인간을 양산하는 등의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청자, 청취자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선택할 수 있는 능동적인 매스 미디어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어린 왕자와 여우가 말한 서로를 〈길들임〉, 개인과 개인 사이의 참다운 정서적유대 관계는 현대 사회에 나타난 대중성, 익명성을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그런문제를 초래한 사회적 요인, 인구 집중, 도시화, 관료제, 대중매체의 횡포를 해결할 수는 없다. 곧지역 공동체의 활성화, 공동체적 근무 제도의 확립, 인간적 매스 미디어의 추구같은 사회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함께 이루어져야 더욱 인간적이고 정이 넘치는 사회가 만들어질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