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추석 등 큰 명절을 앞두고 연례행사처럼 가는게 고작이었던 과거와 달리 목욕탕은 이제 쌓인 피로를 푸는 휴식공간으로 즐겨 찾는 곳.
96년말 현재 대구의 대중목욕탕은 5백44군데로 36년전인 61년(48개소)보다 11배 이상 증가, 인구증가율(3.6배)을 훨씬 웃돌았다. 61년 경우 목욕탕은 종로(15) 중부(13)등 중심가에만 몰려있었고동촌 성서 등 외곽지역에는 전무했다. 인구 1만명당 목욕탕수는 61년 0.7군데에서 96년 2.2군데로증가.
지난해 목욕탕 종류는 공동탕이 5백17군데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사우나(17) 한증탕(6) 터키탕(4)순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