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장의업계도 '소비자 주권시대'

상을 당한 유족들에게 '초상 치르기'는 또 하나의 고통이었다. 바가지나 다름없는 장례비용과 장의사의 불친절한 서비스 탓. 하지만 최근 장의업계도 대형화 바람을 타면서 가격정찰제·회원제등을 잇따라 도입, '소비자 주권시대'를 선언하고 나섰다.

지난 6월초 개업한 대구시 중구 삼덕동 (주)국민상조는 지하매장 70여평에 장의용품 진열장을 마련, 유족들이 원하는 가격대의 장의용품을 골라 구입케 하고 있다. 또 유가족이 적어 상을 치르는데 어려움을 겪는 상가에는 아예 모든 장례절차를 도맡아 처리해 준다.

중구 남산동 (주)두레문화도 가격정찰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 회사는 매달 2만원씩 60개월을 납부하는 5백여명의 회원을 모집, 상을 당하면 우선적으로 장례를 치러주고 있다. 이 회사 대표 장지현씨(50)는 "과거의 장의사도 '상포계' '상조회'형태로 회원을 모집했지만 회비시비로 말썽이 많았다"며 "기업형태로 운영되는 장의업 회사는 회원을 철저히 관리해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이라고말했다.

이밖에 대구지역에서 영업하고 있는 대규모 장의업소는 모두 10여개. 대부분 회원제로 운영되고있고 부르는게 값이었던 과거 장의업계의 관행도 깨고 있다.

(주)국민상조를 통해 시어머니의 장례를 치렀다는 이태옥씨(38·대구시 북구 복현동)는 "생각보다장의용품의 가격이 싸 놀랐다"며 "특히 친절한 서비스로 뒷마무리까지 깔끔해 기분이 좋았다"고전했다.

〈崔敬喆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