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와 자민련의 야권후보단일화 협상이 진전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여권과의 연대에 무게를 두고 DJP협상에 미적지근한 태도를 보여온 자민련이 최근들어태도변화를 보이고 있는데다 국민회의도 이에 적극적으로 호응하고 나섰기 때문이다.이에 따라 양당은 25일 후보단일화 협상소위를 열어 내각제 형태와 공동정권 구성등 후보단일화세부조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협의를 벌였다. 이날 회의에서 양당은 이미 합의한 쟁점에 대해서는일부 항목을 제외하고 조문화 작업을 벌이기로 합의했다.
양당이 우선 합의한 대목은 내각제 개헌전 공동정권 구성방안이다. 양쪽이 5대 5의 조건으로 정권에 공동으로 참여하고 총리에게 조각권을 부여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이미 합의를 마쳤다. TK와 국민통합추진회의(통추)등 일부 인사들이 합류할 경우를 감안해 국민회의측이 일정 지분을 내놓겠다고 밝힘에 따라 이문제도 의견접근을 봤다.
하지만 미합의 쟁점에 대한 양당간의 협의가 아직은 걸림돌로 남아 있다. 양당이 서로 실익계산에 따라 자신들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 쟁점들이 남아 있어 문제해결이 간단치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후보를 양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자민련은 협상을 10월 중순까지 끌면서 최대한 많은것을 얻어내겠다는 속셈이다. 자민련은 내각제 개헌전 공동정권 구성제안은 물론 15대 국회내 내각제 개헌과 지방자치선거, 16대 총선의 대등한 공천권 행사문제 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내각제 정부형태에 대해서도 자민련은 총리에게 권한이 집중되는 순수내각제를 주장하면서 국민회의측의 양보를 끌어내려 하고 있다.
물론 후보를 양보받아야 하는 국민회의쪽은 급한 김에 상당부분을 양보할 태세다. 내각제 당론채택 문제도 변경을 고려중이며 개헌시기도 김대중(金大中)총재는 16대 개헌주장에서 "융통성있는자세를 갖겠다"는 쪽으로 선회했다. 그러나 국민회의는 자민련측이 후보를 양보한다는 확실한 담보가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민회의는 이때문에 지방선거와 16대 공천권의 대등한 지분 약속및 향후 내각제 정부형태 등 미합의 쟁점은 양김총재 회동에서 최종 결론을 내자는 입장이다.
결국 세부사항을 중심으로 양당간의 협상이 진전을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최종 담판은 양김총재의 회동에서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李相坤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