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도심 한복판 지하 50m,길이 20km의 지하터널을 시속 2백50km의 고속전철이 달린다"바로 시가지 남북을 가로질러 달리는 경부선 옆에다 고속전철을 놓아 영원히 도심을 양분할 수는없다는 시민들의 빗발치는 항변에 의해 지상에서 지하로 다시 내려간 경부고속철도도 대구구간의가상도다.
그런데 7일 경부고속철도공단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것이 다시 문제가 됐다. 국민회의 김명규(金明圭), 이윤수(李允洙)의원 그리고 자민련의 변웅전(邊雄田)의원 등은 돈이 더 들고 공사기간이더 걸리는 문제보다 안전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은 건교부 산하의 교통개발연구원과 기술 자문업체인 미국 벡텔사의 주장을 예로 들었다. 이들 기관들은 "대구역사는 세계 고속철도 사상 유례가 없는 난공사로 국내에서 비슷한 경험도 없는 특수공사"라며 "공사기간은 물론 공사비는 상상을 초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상의 노반공사도 부실이 되는 국내에서는 '시공불가'라는 결론이다.
연구원이 대구공사의 난점으로 지적하는 근거는 또 있다. 대구 지하구간의 지반은 진흙이 굳어서된 점판암으로 붕괴의 위험성이 높은데다 대전구간보다 지하로 10m가 더 내려가야 한다는 점이다. 때문에 대구구간은 지하철 공사하듯이 여러 곳에 구멍을 팔 수 있는 게 아니라 양쪽에 구멍을 뚫어 하루 15t트럭 1백대 분의 흙을 파내야 하는 어려운 작업을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또한 지하구간의 위생과 안전사고시 대책도 문제가 안 될 수 없다는 주장이다. 고속철도공단의모의실험 결과 지하구간 통과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서울지하철의 5배인 2천7백ppm으로 기준치의 3배에 이른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고속철도공단이나 건교부의 입장은 아직 불변이다. 지하화로 확정된 계획에는 수정이없고 시공상에는 문제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역출신 건교위원들 역시 대부분 지하화는 손댈수 없는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신한국당의 백승홍(白承弘), 자민련의 이의익(李義翊)의원은"다시 대구구간의 지하화 논란으로 시민을 우롱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특히 백의원은 "지상화로 될 경우 대구시민들은 고속철도가 통과되지 않아도 좋다"는 여론까지 있음을 상기시켰다.
그러나 지하화의 문제점을 지적한 의원들도"지하화가 문제가 있는 만큼 지상화로 하자"는 주장을하지는 않았다.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 이를 사전에 해결하자는 것"이라고만 했다. 다분히선거를 의식한 때문이다. 다만 조심스레 "다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했다. "지상화냐 지하화냐의 두 가지만 놓고 볼 것이 아니라 눈을 다른 곳으로 돌려야 한다"는 이야기를 한다. 이들의 조심스런 대안은 도심외곽 우회안이다.
지역출신으로는 유일하게 신한국당의 서훈(徐勳)의원이 지하화 고수 대신 우회안 검토를 주장했다. 서의원은"도심을 관통하는 기존 경부선을 시외곽에 이전하고 고속철도를 병설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며 "비용절감과 도시발전이라는 두 측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대안을제시했다. 또 지난 14대 국회에서 금호강변 우회노선 주장을 펼쳤던 윤영탁(尹榮卓)국회사무총장역시 우회안을 다시 제기했다. 윤총장은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현 경부고속도로 노선의 고속철도 활용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상습 정체구간인 대구인근의 고속도로 체계의 혁신을 위해 고속도로 대구구간을 새로 건설하는 것이 고속철도 지하건설보다 비용면에서도 절감되고 효과면에서도 더 크다는 주장이다.
〈 李東寬기자 〉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