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1-북은 납치주민 즉각 송환을

비무장지대의 평화스럽던 정적이 북한군에 의해 깨뜨려졌다. 북한군이 비무장지대 군사분계선 남쪽에서 영농작업을 하던 대성동마을 모자 2명을 납치함으로써 남북한간의 긴장상황이 다시 조성되고 있다.

현재 유엔군사령부와 우리 국방부는 "이번 사건은 유엔사 작전통제 아래에 있는 공동경비구역(JSA)에서 발생했으며 북한군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와 주민2명을 납치해 갔다"고 발표했다.유엔사는 사고당일인 17일 오후4시30분부터 판문점에서 북한측과 한시간여 동안 군사정전위 접촉을 가졌으나 송환여부에 대한 확실한 결말없이 회의는 끝났다.

이들 주민들이 납치될 당시의 정확한 상황과 경위는 현재 파악중이지만 북한군이 군사분계선을넘어와 양민을 납치했다는 것은 분명한 도발행위일 뿐 아니라 인도적으로도 비난받기에 충분한파렴치한 범죄라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이번 납치사건은 순찰을 나온 북한군이 상부의 지시에 따라 의도적인 도발을 했거나 아니면 선의로 보아 주민들이 영농작업을 하다말고 도토리를 줍는 과정에서 마침 경계 근무중인 북한군에 적발되어 납치됐을 군이 군사분계선을 넘은 것으로 오인하고 그들을 데려 갔을 가능성등 두가지로 요약된다.

첫번째 경우는 김정일의 총비서 취임이후 국제사회의 신임을 얻어가고 있는 길목에서 다시 도발을 자행했다면 비난을 면할수 없고, 두번째 경우에는 우리측이 그동안 해온 북한군 송환 케이스를 들어 적절한 송환과 함께 그들의 잘못에대한 사과를 받아야할 것이다.

이번에 납치된 주민은 정치적 의미가 전혀 없는 농민이며 게다가 순수 영농활동중에 잡혀간 것이기 때문에 북한 당국은 인도적 입장에서도 이유여하를 묻지말고 즉각 송환해야 할 것이다.북한측도 납치직후 군사정전위 접촉과 또 전화통화에서 송환가능성을 이미 시사하고 있기 때문에장기 억류는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일각에선 이번 사건을 평화협정체결을 염두에 둔 대미(對美) 장성급 접촉창구를 개설하기위해서 라는 분석과 식량난으로 고전하고 있는 북한주민들의 사기진작용으로 이용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돌고 있다.

분명하게 말하거니와 무고한 양민의 신병을 장기간 구금해서도 안되며 설사 북측의 주장대로 농민들이 군사분계선을 넘는 실수를 저질렀다고 해도 납치하여 정치적 목적에 이용해선 안된다. 지금 남북한의 관계는 경수로건설.식량지원.표류군인의 인도적 송환등으로 화해기류를 타고 있다.비무장지대에서의 작은 트집이 평화라는 큰 물결에 장애가 되어서는 안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