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 이회창(李會昌)총재가 22일 기자회견을 통해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며사실상 결별을 선언한 데 대해 김대통령도 이를 일축함에 따라 당은 분당의 위기로 치닫고 있다.이날 이총재의 회견내용은 당을 극심한 내홍상태로 내몰기에 충분했다. 이총재측은 "더 이상 당을 혼란상태에 방치할 수 없다. 이제 나갈 사람은 나가라"며 결연한 의지를 다지고 있는 데 반해민주계 비주류측은 '정치적 패륜', '적반하장'이라며 격렬한 반감을 표했다. 이제 서로 넘어올 수없는 강을 건넌 셈이다. 어떤 의미에서는 내전을 예고하고 있다.
이한동(李漢東)대표와 김윤환(金潤煥), 박찬종(朴燦鍾), 김덕룡(金德龍)선대위원장들도 향후 사태가어떻게 전개될지 감을 잡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들중 김윤환고문은 일단 이총재측에 섰지만이한동대표는 다소 관망하는 자세를 보였다. 물론 박찬종, 김덕룡의원은 절차와 내용 모든 면에서이의를 제기하며 이총재를 비난했다.
어쨌든 이제 당은 극심한 내분에 휩싸이게 됐다. 그래서 앞으로는 주류측과 비주류측간의 대결이아니라 이회창총재측과 반이회창총재측의 대결로 양상이 바뀌게 됐다.
이 과정에서 양측간의 명분과 세력규합 싸움이 한층 치열해질 게 뻔하다.
특히 명분대결에 있어서도 양자는 필사적이다. 이총재측은 김대통령의 국정 난조로 인해 심대한피해를 보고 있으며 이번 검찰의 수사유보 결정에서 보인 김대통령의 이중플레이의 비도덕성 등을 거론했다. 이에 반이총재측은 이총재의 지도력과 당 명예총재에 대한 상식이하의 태도, 인기만회를 위한 계속되는 무리수 등을 지적하며 저항하고 있다.
현재 민주계 비주류측은 이탈보다 당내 잔류투쟁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왜냐하면 김대통령이탈당요구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는 이들에게 당에 남아서 투쟁하라는 일종의 지침일 수도 있다.그래서 이들은 일단 이총재 후보사퇴론과 함께 총재를 당에서 축출하는 작전을 펴기로 한 것으로전해졌다. 이미 총재직 교체를 위한 전당대회 소집론을 제기하고 있으며 이총재후보사퇴 연대 서명운동과 여의치 않을 경우 집단탈당을 위한 실무작업 검토에도 돌입했다는 소식도 들린다.특히 민주계와 청와대출신 인사들은 이총재가 3김청산 대상에 김대통령 즉 민주계를 포함시킨 데대해 격분하고 있어 여당내분은 전쟁상황을 방불케 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총재측과 반이총재측의 생사를 건 대결에서 누가 승리할 것인가. 아직 당내 주요세력들의 대표들이 자신들의 입장을 정리하지 않았고 당내 세력분포도 확연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민심과 향후 당권의 향배도 다소나마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
이총재측이 이기면 반이총재측은 당을 나가야 할 처지에 놓일 것이고 반이총재측이 중도세력의지원을 등에 업고 이총재측을 누르면 이총재는 이번 결단으로 묘혈을 판 꼴이 된다. 지금으로서는 이총재측이 세력면에서 훨씬 우위에 서있는 편이다. 민정계측이 최소한 반이전선에 가담치는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권의 내분과 이로 인해 어느 정도의 세력이탈은 대선구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게불문가지다. 소규모 정계개편도 예상할 수 있다. 이인제(李仁濟)전지사가 이득을 챙길지 아니면이회창-조순연대가 이루어질지 또 JP가 보수세력 결집에 다시 나설지, DJP가 예정대로 순항할지어느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李憲泰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