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YS향후 행보 관심

"누가 만든 당인데…",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빼려는 적반하장(賊反荷杖)격", "이해할 수 없는 비이성적 돌출행동" 등등.

22일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한 신한국당 이회창(李會昌)총재의 회견직후 청와대에서즉각적으로 쏟아져 나온 반응들이다. 이총재가 김대통령에게 정면으로 칼을 들이대듯 이렇게까지치고 나올줄은 예상 못했고 이해가 안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대통령과 핵심참모들은 이미 회견내용을 알고 있은 듯 곧바로 김용태(金瑢泰)비서실장으로 창구를 일원화해 입장을 정리하는 기민성을 보였다. 펄펄 끓는 분노 대신'당적 보유와 공정선거 관리는 별개'라는 논리로 차분하게 대응하고 나선 것이다. 어금니를 꽉 물고 있는 김대통령의 심정이 그대로 전해진 대목이다.

이날 김실장과 김광일(金光一)정치특보, 조홍래(趙洪來)정무수석을 비롯한 청와대 핵심참모들은종일 무거운 분위기속에서 향후 대응책을 숙의하는 모습이었다.

참모들은 일단 복잡미묘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이는 향후 추이를 지켜보되 이날 이총재의 돌발적인 행보에 크게 개의하지 않고 '우리 갈 길을 가겠다'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여진다.그러나 김대통령과 이총재의 관계가 지원관계에서 대립관계로 바뀌게 됨에 따라 핵심참모진을 제외한 중.하위 비서진들은 곤혹스러운 표정이 역력하다. 정무수석실의 한 비서관은 "도무지 뭐가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겠다"며 "이제는 이총재를 집권여당의 후보라고 말하기도 어렵지 않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청와대 핵심참모들은 김대통령이 이총재의 요구대로 순순히 당을 떠나지는 않을 것으로 단언하고있다. 그러나 이총재가 사실상의 결별선언과 다름없는 당적포기를 요구한 이상 김대통령도 모종의 선택을 해야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이총재로서는 대선승리가 어렵다는 얘기와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여권내부에서의 주장도 꾸준히 있어온 만큼 김대통령은 이번 사태를 역공의 기회로 삼는 선택을 할 가능성이 많다.다시말해 이총재를 철저하게 고립시키면서 주저앉히는 것이다. 문제는 과연 이런 상황을 주도할만큼 김대통령이 힘이 있느냐는 것이다. 새로운 판을 짜기에는 시간이 너무 촉박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청와대측은 이총재의 지지율 변화와 당내 상황을 좀 더 지켜본 뒤 대응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어쨌든 현재로서는 김대통령이 수모를 감내하면서 당을 떠난다는 것은상정할 수 없는 분위기다.

〈吳起煥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