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 인식이나 역사 연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며,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한국사의 뿌리라 할수 있는 고대사중에서 가장 의견이 분분한 고조선 중심지의 위치와 실재여부,그리고 발해사의 귀속을 둘러싸고 국제학계에서 상이한 주장들이 평행선을 긋고 있는 대조영과발해인에 대한 논쟁점들을 중심으로 살피고 있다.
세계화 국제화 움직임에서 민족 개념을 얘기하는 것은 자칫 이러한 추세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의 역사속에 세계가 있는 것이다. 한국민족의 형성시기에 대한 인식은 민족적 정체성의 확립이란 점에서 중요한 연구가 아닐 수 없다.
또 남북한 역사학계의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역사학연구에 투영된 '우리'의 다른 모습을 이해하고고구려 연개소문과 신라 김춘추가 민족사에 끼친 영향에 대한 후대의 평가 등도 함께 실었다. 저자는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12년 간 가능했던 언어치료사 시험 불가 대법 판결…사이버대 학생들 어떡하나
한동훈 "이재명 혐의 잡스럽지만, 영향 크다…생중계해야"
[속보] 윤 대통령 "모든 게 제 불찰, 진심 어린 사과"
홍준표 "TK 행정통합 주민투표 요구…방해에 불과"
안동시민들 절박한 외침 "지역이 사라진다! 역사속으로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