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장애인고용를 왜 낮나

장애인 실업 문제의 원인은 '장애인 기피증'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한 기업주의 사고에서 우선한다. 또 장애인 취업의 전제 조건인 전문 기술 교육 기관의 부족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미온적인 지원 정책도 한몫을 차지한다.

장애인고용촉진공단에 따르면 3월 현재 대구, 경북 지역내 장애인 의무고용업체로 지정된 3백인이상 고용사업장 1백47곳중 법정 의무 비율 2%를 넘은 곳은 불과 13개업체에 불과하다. 숫자로는 5백61명으로 비등록 장애인을 포함해 50여만명으로 추정되는 지역내 장애인의 0.1% 수준에그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 관련 기관에서는 장애인 고용에 따른 정부의 각종 지원 혜택을 고려한다면 장애인취업 확대가 IMF를 이길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장애인 신규 채용 기업의 경우 2년 동안 고용 장애인 인건비의 40~80%까지 정부 보조금 지원을 받게 되며 △의무고용 부담금의 1백% 해당되는 금액을 장려금으로 받게 된다. 또 △장애인의현장 업무 수행시 필요한 편의 시설 설치비 전액의 무상 지원과 △장비 구입이나 기숙사 설치비를 10억원까지 장기 저리로 융자받을 수 있다.

한편 장애인 고용을 위해서는 전문 교육 기관의 확대와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현재 지역내 장애인 교육 기관은 장애인종합복지관내 부설 훈련원등 2곳에 불과하며 교육 내용도목공예, 인쇄, 귀금속 세공등 극히 제한적이어서 기업들이 필요로하는 전문인 양성과는 동떨어져있는 실정이다.

장애인고용촉진공단 관계자는 "생산성이 조금 떨어진다 해도 장애인 고용에 따른 각종 혜택을 누린다면 기업 경영면에서 많은 득이 된다"며 "실제 지역에서 장애인 채용에 적극적인 일부 기업들이 매년 수천만원의 지원금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李宰協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