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통터지는 일이었다. 견딜수 없는 두통에 찾은 의사로부터 재벌 회장들에게나 해당되는줄 알았던 병명을 통고받은 것까지는 그래도 참을만 했다.
문제는 시점이었다. 큰 공연을 눈 앞에 두고 몸이 두개라도 모자랄 판에 열흘 입원이라니. 진통제를 맞아서라도 며칠간만 더 버틸 작정이었지만 결국 몸을 이기는 정신이란 없었다. 이렇게 내 열흘간의 강제 휴가는 시작되었다.
불치병을 선고받는 환자의 반응이 처음의 부정과 분노에서 차츰 안정과 수용의 단계로 옮겨간다고 하던가? 군입대 때보다 짧게 깎은 머리에 호스가 꽂히고 링거주사가 운신의 자유를 제한하게되면서부터 이 강제 휴가가 내게 부정적인 의미만을 갖는게 아니라는데 생각이 미치게 되었다.IMF시대를 살아가는 누군들 예외일 수 있겠는가 마는 나 역시 앞만보고 일 중독자처럼 살아가는데 익숙해져 있었다.
문화사업을 한답시고 밖으로는 '일상으로 부터의 휴가'니 '재충전의 여유'를 강변해 왔지만 정작나 자신을 위한 휴식시간을 갖는데는 소홀했던 것이다.
결국 다시 분통터지는 일이다. 재충전의 여유를 주사 냄새 진동하는 병실에 누워 갖게 되었다는사실이 그렇고 극장에서건 농구 경기장에서건 퇴원후엔 무엇보다 먼저 나 자신만을 위한 넉넉한시간을 갖겠다는 '때늦은'결심이 그렇다.
옆에서 지켜보던 간호사가 흥분하면 해롭다고 주의를 준다. 하지만 건강과 신의-내 삶의 두신조만큼은 지켜야 겠다는 생각에 병상에서 이 글을 띄운다.
〈C&J대표〉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