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제청문회-전 종금사 사장단 신문

3일 허만귀(許萬貴)전경남종합금융사장 등 당시 종금사 사장단 등을 상대로 한 청문회에서는 종금사 인허가에 대한 특혜의혹이 집중 제기됐다.

의원들은 특히 1, 2차에 걸친 종금사 인허가는 정치권 인사의 로비와 외압이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종금사 인허가와 김영삼정부 당시 정치권의 유착관계를 파헤치는데 주력했다. 또 당시 재경원당담자들을 상대로 한 신문에서는 종금사에 대한 관리감독의 소홀과 경영평가의 문제점등을 지적하기도 했다.

국민회의 이윤수(李允洙)의원은 허전경남종금사장을 상대로 "현재 서울구치소에 수감중인 허전사장은 종금사의 운명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며 "당시 경남투금의 경우 자기자본이 기준인300억원에 미달하는데도 80%의 유상증자를 허용하면서까지 종금사로 전환됐다"며 정치권에 대한로비의혹을 제기했다.

자민련 정우택(鄭宇澤)의원은 이창재전고려종금회장에 대한 신문에서 "고려종금으로의 전환과정에서 유상증자등 김영삼정부 당시의 특혜조치가 있었다"고 주장하고 "고려증권과 고려종금의 파산등으로 볼 때 경제질서를 문란하게 한 책임도 모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종금사의 불법.부실경영문제도 도마위에 올랐다. 국민회의 정세균(丁世均)의원은 "97년 8월12일부터 12월27일까지 한솔, 경남 등 13개종금사가 기업어음을 2중으로 매각한 총액이 약3조725억원에달하는 천문학적 규모"라며 "이같은 기업어음의 2중매각등 불법행위는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를극명하게 드러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천정배(千正培)의원도 "경남종금의 경우 94년 9월 인가당시 종합금융에 필요한 인력을 거의 확보하지 못한 상태였다"며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무모하게 국제금융이나 리스, 신탁 등 업무를 하면서 경영이 부실화됐다"고 주장했다.

이종갑전재경원 자금시장과장을 상대로 한 신문에서 의원들은 종금사 경영평가의 부실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의원들은 종금사에 대한 경영평가를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하기보다 한식구라고 할 수 있는 종금협회에 맡기면서 종금사 부실이 초래됐다며 당시 관리감독의 책임을 물었다.천정배의원은 "지난 96년 종금협회가 실시한 경영평가는 도저히 경영평가라고 할 수 없는 등급을나눈 것일 뿐"이라면서 당시 감독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