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기대되는 여야 총재회담

여야가 경색된 정국을 깨고 모처럼 화해의 기미를 보이고 있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김정길(金正吉)청와대정무수석이 인위적 정계개편과 기획 영입을 않는 것이 대통령의 뜻이라 못박고 "여야총재회담을 하자"고 제의한 것이 대화의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물론 이에대해 이회창(李會昌)총재는 "인위적인 정계개편을 김대통령이 포기 않는 한 총재회담에응할수 없다"고 대화제의에 불응하고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도 오랜 장외투쟁으로 더이상 '거리 정치'를 계속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여야 대화의 분위기는 한층 성숙됐다고 본다.

실상 여야는 지난해 11월 10일 어렵게 총재회담을 열고 여야간 대화와 협력을 통한 성숙한 정치복원에 합의했었다. 그러고서도 지금까지 90여일 동안을 사생결단식으로 맞서왔으니 정말 한심하고 안타깝다.

여당은 인위적인 정계개편 움직임으로 정치권을 들쑤셔놓은 가운데 지난 1월6·7·8일 3일 연달아 단독으로 국회 상정 법률안을 변칙 통과시키는 기록을 남겼고 야당은 마산, 구미, 인천에서 장외집회를 계속 여는등 겉돌기만 했으니 이러고서야 국정이 제대로 운용될수 있을는지 의심스럽다. 물론 중대한 현안문제를 둘러싸고 여야가 대결을 벌일수는 있다.

그렇더라도 사안의 경중은 가릴수 있는 지혜는 있어야 한다.

지금 이 시점 경제가 무너져내린 이 판국에 국정을 주도해야할 정치권이 이처럼 오래 국회 문을닫아서야 될 일이 아닌 것이다.

한나라당 이총재는 자신을 국정 파트너로 보장하고 인위적인 정계개편을 않아야 총재 회담에 응할수 있다고 '보다 명시적' 보장을 요구하고 있어 이는 여당이 양보만 하면 쉽게 풀릴 수 있는문제다. 게다가 당내의 비주류와 보수세력들의 정국 복원 주장이 힘을 얻어가고 있는 만큼 여야화해 전망이 어둡지만은 않은 것 같다.

더구나 김대중대통령의 대화 의지가 강력한 만큼 여야 총재회담이 성사될 것이란 기대가 더욱 높다고 하겠다. 어쨌든 여야는 이번 정무수석 교체를 계기로 대화의 문을 열어 정국안정을 꾀할 것을 기대한다.

여야간의 불신의 벽을 허물고 김대통령과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간의 신뢰구축부터 시작해야 할것이다.

야당도 여당의 정치행위에 대해 무작정 '야당파괴'로만 치부하는 행태로는 대화정치 복원은 요원하다 할 것이다.

이제 여야간에 당리당략보다 양보와 설득과 대화가 필요한 때가 된 것이다.

여야는 대화정치를 복원해서 경제회생과 민생안정의 견인차 역할을 해주기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