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야 총재회담 어떻게 돼가나

현재의 대치정국을 해소하려는 대화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음에도 총재회담이 조기에 성사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정계개편의 중단문제 등을 둘러싸고 여야간 힘겨루기가 팽팽하게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분위기는 총재회담 추진 및 신임 인사차 8일 한나라당을 방문한 청와대 김정길(金正吉)정무수석과 이회창(李會昌)총재간의 대화에서 드러나 있다. 이들간의 대화를 통해 대화국면쪽으로급진전할 것이란 당초 예상은 일단 빗나간 셈이 됐다.

이총재는 인위적인 정계개편과 야당의원 영입을 중단할 것이란 김수석의 거듭된 약속에도 불구,"동서화합이나 지역연합을 통한 정계개편 및 이와 관련된 정책구상을 포기하고 이를 국민앞에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오히려 압박수위를 더욱 높인 것이다. 즉 여권에 대해 회담에 앞서 일체의정계개편 관련 움직임을 포기하라는 요구인 셈이다.

물론 여권측에서 잇따라 밝히고 있는 의원 빼내가기 중단 등의 발언에 대한 불신감도 작용하고있다. 이총재가 이날 김수석에게"그 정도의 발언은 지난해 11월 총재회담에서도 들었는데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 데서 엿보인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이같은 요구사항을 회담의 전제요건으로 끝까지 고수할 것으로 보는 시각은많지 않다. 여권으로 부터 추가적인 양보를 얻어내기 위한 무기로 활용될 것이란 분석이다.여권 역시 대화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위한 분위기 조성에 연일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국세청 대선자금 모금사건에 연루된 한나라당 서상목(徐相穆)의원 처리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국가 기본질서를 뒤흔든 사건인 만큼 정치적 흥정의 대상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여전히 견지하고 있는 것이다. 한나라당이 8일 다시 소집한 국회를 서의원을 위한 방탄용 국회라고맹비난하고 있는 처지인 만큼 체포동의안을 보류하는 쪽으로 가닥잡을 경우 야당과 물밑거래했다는 비난여론에 몰릴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

이같은 상황 등으로 인해 총재회담이 설전에 개최되기는 어렵다는 전망이다. 게다가 경제청문회가 설연휴 직전인 오는 13일까지 계속되고 있는 상황 역시 감안돼야 한다는 것이다.그렇다고 설직후의 회담 성사를 속단하기엔 아직 이르다. 여권이 의원영입을 중단하겠다고 약속은 했지만 어떤 식으로든 정계개편 자체는 계속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인 만큼 정국불안 요소는잠재돼있는 것이다. 한나라당 이총재로서도 비주류의 2월 거사설 등을 감안할 경우 현재의 대여강공전략을 고수해 나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 같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