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어린이 시력관리 이렇게

눈도 혹사당하면 나빠진다. 요즘 아이들은 누구나 TV와 컴퓨터를 접하며 생활하기 때문에 시력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아이가 TV에 점점 가까이 다가가면 안경을 껴야 할 정도로 시력이 나빠졌을 수 있다.

아이는 생후 2개월에 약 0.1정도의 시력을 갖고, 6개월이 지나면 0.2의 시력이 형성됐다가 2세를지나 6,7세까지 중심시력 발달이 이뤄진다. 성인시력에 도달하는 여섯살 때 까지 시력이 잘 발달되지 않으면 나중에 안경으로도 교정되지 않는 약시상태로 평생을 지내야한다. 따라서 6세 이전에 정밀 시력측정을 한뒤 발달장애를 교정해 줄 필요가 있다. 3, 4세가 되면 간단한 그림문자로시력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유치원에 들어가기 전 반드시 시력측정을 받는 것이 좋다.일단 아이의 시력이 근시로 진단되고 학교에서 칠판 글씨가 희미하게 보일정도라면 안경을 씌우는 것이 좋다. 난시와 원시는 정확하게 교정해 줘야한다.

학교에 들어가면 책읽기와 컴퓨터 화면 등으로 근시가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아동기에는 독서나 컴퓨터 사용후 눈의 휴식을 취하는 습관을 길러줘야 한다. 장시간 눈을 혹사시키면 근시가초래되기 때문이다.

가까운 곳의 물체를 오랫동안 들여다 볼때 눈 안의 근육 경련으로 먼곳에 있는 물체가 일시적으로 잘 보이지 않는 '가성근시'는 눈 휴식과 조절마비 안약으로 없앨 수 있으므로 안경을 씌우지않도록 주의해야. 이때 안경을 쓰게되면 평생 안경을 써야한다.

따라서 아이들은 절대 안경점에서 자가판단으로 안경을 맞춰 씌우지 말고 정밀검사를 받을 수 있는 병·의원을 찾아 처방을 받아야 한다. 안경을 쓰기 시작한 아이들은 6개월에 1번씩, 정상시력인 경우는 1년에 한번씩 시력검사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특히 의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눈체조법, 핀홀 근시치료기, 지압, 침술, 눈영양제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시력 보호를 위해서는 △편식 피하기 △책이나 컴퓨터 50분 본 후 10분 휴식 취하기 △독서때 조명을 300~500룩스로 △올바른 자세로 책을 읽고, 누워서 TV보지 않기 등을 생활화 해야한다. (도움말:대구안과 조영수 원장·053-651-2233)

〈黃載盛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