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대통령 회견 이후 정국향방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지난 24일 여야간의 동반자관계 강조 등 정국 정상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한 것을 계기로 총재회담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김대통령은 취임1주년 내외신 기자회견을 통해"야당의원들을 개별공작을 통해 빼내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국정 동반자로 존경하고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지난 21일 국민과의 TV대화에서 야당 일부세력의 탈당 및 신당 창당가능성 등을 언급한 문제발언과 관련해서도"신문에 보도된 것을 인용한 것일 뿐 야당 내분에 관심이 없고 잘못되기를 바라지도 않는다"고 해명했다. 대화정국에 대한 절박감마저 감지될 정도다.

실제로 김대통령은"국민이 정치를 어떻게 보는지 두려운 마음과 위기의식을 갖고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국민회의와 자민련 등 여당은 25일부터 사무총장과 원내총무 등 대화 채널을 총가동, 한나라당측과 총재회담 개최시기 등에 대한 절충에 나서고 있다.국민회의 정균환(鄭均桓)사무총장은 "여야관계를 조속히 복원, 정상적인 정치와 정치안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나라당 역시 김대통령 회견을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해 총재회담 성사를 위한 협상쪽으로 기울고 있는 모습이다.

이날 오전 여의도당사에서 열린 주요 당직자회의에선 여권과의 접촉을 통해 김대통령 발언의 진의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한 뒤 대처방안을 결정하자는 신중론이 다수 개진됐으나 총재회담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자체는 확산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신경식(辛卿植)사무총장은"여당과의 접촉을 거친 뒤 총재회담과 관련된 당론을 결정해야 하겠으나 김대통령 회견을 통해 변화된 분위기를 읽을 수 있었다"고 부연, 대화의지를 시사했다.

물론 한나라당측도 대치정국 장기화에 부담을 갖지 않을 수 없는 처지다. 김대통령 회견을 진전된 것으로 평가한 데서 엿볼 수 있듯 당내에선 정국정상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한나라당 서상목(徐相穆)의원 체포동의안과 박상천(朴相千)법무장관 해임건의안, 김태정(金泰政)검찰총장 탄핵소추안 등 치열한 표 대결을 예고했던 사안들과 관련, 이에 부담을 갖고 있던 여야가 이번 회기에 상정시키지 않는 식으로 타협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도 대화분위기 조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의 3월7일 방미에 앞서 총재회담이 성사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내달 2일로 예정된 이총재의 기자회견 등을 통해 회담수용 의사를 밝힌 뒤 출국직전 김대통령과 회동한다는 관측이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