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실업대책 너무 안이하다

고졸및 대졸 미취업자가 졸업과 더불어 노동시장에 쏟아져나오면서 실업인구가 계속 늘어나 2월말에는 정부공식집계로도 실업률 9.5%에 실업자 195만명까지 치솟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이는 당초 정부예상치 올1·4분기 실업률 평균 8.3%, 실업자 175만명을 훨씬 넘어서는 수준이다. 더욱이 이같은 수치는 정부가 구직을 포기한 실업자를 통계에 넣지않은 것이어서 이를 합하면 실업률 8.5%였던 1월말에 이미 실업자는 215만5천명, 실업률은 10%선을 넘어 실업이 사회불안을 초래할 우려가 높아진 것이다.

이같이 걱정스러운 실업수준에 도달하고 있는데도 정부의 대책은 연두기자회견 등에서 대통령의 역점시책으로 거창하게 표방만 되고 있을 뿐 실효성있는 방안은 별로 나오지 않고 있어 너무 안이한 느낌을 준다.

정부의 실업대책은 올해 최고 50만개의 새 일자리를 만드는 것과 실업자의 생계대책으로 공공근로 대상자를 10만명 더 늘리는 것을 골자로한 실업대책을 내놓고있다. 그러나 이들 대책은 처음부터 실효가 의문시되는 내용이라할 수 있다.

새 일자리 창출의 경우 올해 경제성장률이 2%에 달할 것으로 보고 지난해 없어진 일자리가 복원된다는 전제에서 나온 추정치이나 실제 기업들은 경기가 회복된다해도 새 인력을 고용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노동부조사에서도 기업의 30~40%가 올해도 정리해고등 고용조정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밖에도 기업들은 인력절감을 위해 자동화율을 높이는 추세에 있어 목표성장률을 달성해도 고용증대효과와 직결되기는 힘들 전망이다.

설사 경기호전으로 일자리가 생겨난다해도 그 효과는 최소한 1년이 걸려 올 실업대책으로는 기대할 것이 못된다. 또 일자리를 만들기위한 사회간접자본 투자의 조기집행도 예산부족에 직면해있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재취업훈련교육이나 인턴사원제, 중소기업 공공근로지원 취업등의 취업효과가 높은 것도 아니다.

올 상반기중 공공부문의 구조조정과 대기업의 빅딜및 구조조정이 시행되면 감당하기 어려운 실업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 지금같은 주먹구구식 실업전망과 안이한 실업대책으로는 어떤 사태를 맞을지 알 수 없다.

더 늦기전에 현실적인 실업전망과 근본적이고 실효성있는 대책을 세워야한다. 실업대책의 발상을 바꾸어 근로시간단축과 일자리나누기, 인력공급체계의 개선등 실제 우리 현실에 맞는 구조적방안도 검토해봐야할 것이다. 실업자줄이기를 위한 임시방편이나 실정에 맞지않은 실업대책은 미봉책일뿐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