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기 개강을 맞아 지역 대학가에는 겸임교수의 강단 진출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대학마다 유명 인사나 관련분야 전문 직업인들을 경쟁적으로 초빙하는 바람에 일부에서는 겸임교수 숫자가 정규교원 수의 10%를 넘는 곳도 있다.
대학이 겸임교수 채용을 늘리는 것은 교육의 현장 연계와 학교홍보란 목적 외에도 IMF 이후 나타난 재정난 타개라는 속사정이 깔려 있다. 연봉 수천만원의 정교수 채용보다는 시간당 강사료 4만~5만원 정도의 겸임교수 확보가 우선 인건비 절감효과를 가져오기 때문.
게다가 겸임교수가 주당 9시간 강의를 맡을 경우 각종 대학평가에서 정규 교원 1명 채용과 같은 교수 확보율을 인정받을 수 있어 일석삼조(一石三鳥)의 효과도 얻게 된다.
연예인 · 전현직 고위 공무원 · 기업가 · 변호사 · 언론인 · 연구원 · 패션디자이너 · 도예가 등 대학의 겸임교수 직업은 각양각색.
박병련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대구대에서 행정학 특강을 맡고 있으며, 대구방송의 김성태 전무이사가 영남대에서 방송편성 제작론을 강의하고 있다. 또 구종태 전대구지방경찰청장이 대경대학에서 경찰학개론, 형사소송법 등의 전임교수로 활동중이며, 탤런트 최란씨는 같은 대학의 카메라연기 강좌를 겸업하고 있다.
영남대는 겸임교수가 650명의 정규 교원수의 10%에 가까운 63명으로 올 신학기 들어서만 19명의 겸임교수를 강단에 새로 초빙했다. 대구대도 426명의 정규교수 숫자의 10%가 넘는 51명의 겸임교수가 강의를 맡고 있다. 올들어서만 34명이 늘어났다.
또 경북대와 계명대·대구효가대·경산대·경일대에도 각각 20명 안팎의 겸임교수들이 강의를 맡고 있어, 대구인근 7개 4년제 대학에서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는 전문 직업인들만 모두 200여명에 달한다.
대학의 한 관계자는 "풍부한 현장경험을 지닌 전문인들의 강의에 학생들의 호응이 높은 편이며, 대학의 실용교육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존교수나 전문강사들은 강의시간 위축과 수업의 전문성을 조심스럽게 지적하는 등 곱지 않은 시선도 보이고 있다.
〈趙珦來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