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만 1년 남은 16대 총선...향후 정치일정

내년 4월에 실시되는 16대 총선이 13일로 만1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총선을 향한 정치권의 움직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 시작조차 못한 정치개혁 협상을 비롯, 일단 8월말 이후로 미뤄둔 내각제 개헌문제 등 정치권의 지형을 가를 변수가 많아 현재로서는 향후 1년간 개략적인 정치일정을 가늠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우선은 정치개혁 협상이 관건이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9일 청와대 4자회동에서 정치개혁을 가속화하기로 한데 이어 10일 정치개혁 특위 대표회담에서 이달말까지 단일안을 마련키로 해 공동여당의 안은 어찌됐든 4월말까지는 선을 보이게 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여권이 내각제 개헌문제를 마무리 지을때까지는 정치개혁 협상에 적극 나서지 않기로 방침을 정함에 따라 현재로서 여야간 본격적인 협상은 9월들어서야 가능할 전망이다.

지난 96년 15대 총선때도 선거를 5개월여 남긴 95년 11월말까지 여야가 선거구제 문제를 놓고 실랑이를 벌였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최소한 연말까지는 논란이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선거구 획정문제는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려 내년초까지 논의가 지체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여권수뇌부가 8월까지 내각제 논의를 전면중단키로 함에 따라 9월부터 논의가 재개될 내각제 개헌문제도 주목된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국민회의 자민련 공동여당 합당설의 실현여부 등 정치권의 풍향을 가를 각종 변수들을 감안하면 총선채비와 관련한 여야일정은 그야말로 불확실성으로 가득차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정치개혁 협상과는 별도로 각 당은 총선에 대비, 대폭적인 외부인사 영입작업에 나서 미창당 및 사고지구당에 대한 정비작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여권의 '젊은 일꾼 수혈' 등 여야간 치열한 영입전이 곧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국민회의는 우선 8월 전당대회 이전에 62개 미창당 및 사고지구당에 대한 정비작업을 벌여 '젊은 층'을 대거 수혈, 전국정당의 면모를 갖춰 나갈 계획이다.

또 전당대회 후 연말까지 2차로 원외위원장 교체작업을 벌인 뒤 올해말부터 내년초까지 전체적인 공천심사를 벌여 후보자를 결정한다는 일정을 잡고 있다.

자민련도 지난 9일 단행한 당직개편을 계기로 당의 면모를 일신하는 작업과 함께 대대적인 물갈이를 통해 지구당 정비작업에 나설 계획이며 내년 1월말까지는 단계적으로 외부인사를 영입, 공천작업을 마무리지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송파갑, 인천계양·강화 재보선후 1차적으로 23개 사고지구당 정비에 착수할 예정이며 연말까지 정비작업을 마친 후 늦어도 내년 2월초까지는 공천작업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한편, 선거일전 180일인 오는 10월 16일부터 출마예상자들은 일절 기부행위가 금지되며 이번 총선에 출마하고자하는 공무원은 선거일전 60일인 내년 2월 12일까지 사퇴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