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구 3인제 與野 의석변화 초미 관심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정치개혁 협상과 관련, 한 선거구당 3인 선출을 골격으로 한 중선거구제 쪽으로 쏠리게 됨에 따라 이에 따른 여야 3당의 예상 의석수가 관심을 끌고 있다. 양당 8인 정치개혁특위는 합의안 도출을 위한 오는 14일 전체회의를 앞두고 12일 마지막 실무협상을 통해 이같은 선거구제를 도입할 경우 지역구의원과 비례대표간의 의석 비율을 3대 1로 한다는 데도 의견을 접근했다.

양당은 그동안 총의석을 현재보다 29명 줄인 270석으로 하고 지역구 의원은 선거구당 3인 선출을 기본으로, 일부 대도시와 농촌지역에서는 2인 혹은 4인제를 도입키로 했다. 또한 정당명부제 실시와 관련, 전국을 8개 권역으로 구분했다.

권역별 특정 정당의 비례대표 상한선은 앞서 50%로 합의한데 대한 비난 여론과 국민회의의 당초 안인 3분의 2를 감안할 경우 60% 안팎에서 가닥잡힐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여권은 이같은 방안을 토대로 지난 대선과 총선, 지방선거 당시 기초단체장의 득표율 등을 토대로 모의선거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결과 국민회의가 제1당이 되는 등 공동여당이 원내 과반수를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구의 경우 지역구 총원은 10명 정도가 되며 선거구는 대도시의 4인 선거구제 등도 일부 적용된 3개구가 된다. 경북은 지역구 의원이 총 13명이 되며 선거구는 일부 농촌지역의 경우 2명을 선출한다는 합의에 따라 5, 6개 정도로 예상된다.

또한 대구.경북권의 비례대표 의석은 지역구 총수의 3분의 1이 되는 만큼 8석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내 총 의석수는 31석이 되며 이같은 선거구 등을 토대로 각 당 의석수를 추정할 경우 국민회의 3, 자민련 5, 한나라당 20석이 된다. 나머지 3석은 상황에 따라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부산.경남권에선 국민회의 4, 자민련 4, 한나라당 30석으로 전망된다. 결국 국민회의가 사실상 불모지였던 영남권에서 비례대표를 포함, 7석을 차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호남권에선 국민회의가 거의 독식, 총 34석 중 자민련과 한나라당은 각각 1석을 차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청권에서도 국민회의는 총 30석 중 한나라당의 2배 수준인 6석을 갖게 된다는 것.

수도권의 경우 국민회의가 상대적으로 우세한 가운데 한나라당과 의석을 사실상 양분한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