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재즈계의 황제 마일스 데이비스 자서전 번역

마일스 데이비스를 빼고 20세기 재즈사를 쓸 수 있을까? 해답은 '불가'다.

깡마른 몸매에 왜소한 체구, 퀭한 눈빛을 가진 그는 루이 암스트롱이나 듀크 엘링턴, 찰리 파커 등과 함께 재즈사 최고의 명인으로 손꼽히는 재즈 트럼펫주자이자 작곡가, 밴드 리더였기 때문이다.

'재즈계의 황제' '20세기 재즈계의 독재자'로 불리며 40년 넘게 재즈계를 주름잡았던 마일스 데이비스(1926-1991)의 자서전 '마일스'(집사재 펴냄)가 국내 번역출간됐다.

지난 89년 마일스가 구술한 것을 저널리스트 퀸시 트루프가 기록한 이 자서전은 스윙과 비밥, 쿨재즈, 하드밥, 프리재즈, 퓨전재즈의 탄생사는 물론 40년대부터 80년대까지 뉴욕 재즈계를 환하게 꿰뚫고 있다.

치과의사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흑인 트럼펫주자중 유일하게 대학(줄리어드)을 다닌 뮤지션. 하지만 그의 음악의 모태는 대학이 아니라 할렘의 '민턴스 플레이하우스'클럽이었다.

45년 찰리 파커 밴드에서 활동을 시작한 그는 49년 역사적인 앨범 '쿨의 탄생'을 발표, 50년대 쿨재즈의 길을 열어놓았다.

그러나 헤로인 중독으로 방황하다 재기해 수많은 앨범을 발표하면서 명성을 얻는다. 69년 '비치스 블루'로 퓨전재즈라는 새로운 스타일을 만드는 등 모든 재즈 양식의 아버지로 불리는 음악가였다.

이 자서전에는 샹송가수 줄리에트 그레코, 찰리 파커와 마일스의 애증관계, 섹스와 마약에 탐닉한 시절, 백인 정치가에 대한 분노 등 그의 삶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