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찰, 순찰차 중심 민생치안체계 운용

경찰이 올해 안에 파출소 기능을 줄이고 차량 순찰 중심으로 민생치안 체계를 대폭 바꿀 방침이나 순찰차 위치정보시스템이 전혀 갖춰지지 않은데다 다중 무선 장비조차도 없어 '이동 치안체계'가 자칫 치안 부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있다.

경찰청은 다음달부터 대구 남부서를 비롯 각 시도별로 1, 2개 경찰서에 순찰차 중심 치안체계를 시범 운용한 뒤 연내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할 방침이다.

그러나 대구지방경찰청 상황실은 시내 주요 도로와 일부 상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정보시스템(GIS)만 있을 뿐 순찰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순찰차 위치정보시스템을 갖추지 않아 범죄신고가 들어오더라도 즉각 대응이 어려운 형편이다.

차량 순찰 중심으로 치안체계가 바뀔 경우 경찰서별로 20대 가량의 순찰차가 배치되나 강력사건 발생시 무전으로 순찰차를 호출, 위치를 파악한 뒤 다시 현장출동 차를 선정하게 돼 신속출동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경찰은 지난 90년 중반부터 전국 대도시 지방경찰청에 순찰차 위치정보시스템 설치를 추진해왔으나 지난해부터 예산 확보의 어려움을 들어 이 작업을 무기 연기한 상태다.

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무전기도 대부분 노후한데다 아날로그 방식이어서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디지털 방식의 무전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즉 아날로그 방식 무전기는 동시 연결이 되지 않는데 비해 고유번호(ID)가 입력된 디지털 방식 무전기는 긴급 지령이나 사용자 확인 등이 가능해 순찰중심의 치안체계에 적합하나 이마저 예산난을 이유로 보급이 무기 연기된 형편이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은 항상 조직체계를 먼저 바꾼뒤 장비와 시스템을 뒤따라 갖추는 잘못을 거듭하고있다"며 "앞으로 순찰차 위치정보시스템만 갖추는데 2, 3년이 걸려 그동안 파행적인 치안운용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金炳九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