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외면당하는 '인턴사원제'

정부가 대졸및 고졸 미취업자에게 사업현장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구인.구직을 돕기위한 정부지원 인턴사원 제도가 졸업생들의 외면으로 실업정책으로서 실효성을 잃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실업대책의 일환으로 각 대학 졸업인원의 일정비율에 대해 인턴 추천권을 부여하고 6개월간 1인당 월 50만원씩 인턴수당을 지원해 왔다.

그러나 인턴사원으로 근무하는 졸업생들은 전공과 관계없는 업무보조나 잡무를 해야 하므로 능력개발을 기대할 수 없고 정규직원으로 채용될 가능성도 희박한데다 보수도 적어 인턴제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영세한 중소기업이 많은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졸업생들이 선호하는 기업이 적어 기간이 걸리더라도 정식취업을 하겠다는 미취업 대졸자가 늘어나고 있다. 또 기업체의 입장에서도 인턴사원의 경우 정규 사원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지고 기업의 구조조정이나 효율성을 어렵게 해 인턴사원을 크게 반기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

경북대가 19일 마감한 제2차 정부지원 인턴 희망자 접수 결과, 신청자가 200여명으로 1차 모집때의 450명에 비해 절반이상 줄었으며, 영남대도 신청자 수가 400명으로 1차의 725명보다 절반가량 감소했다. 계명대는 지난 학기에 1천211명이던 신청자가 352명으로 3분의1 이하나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선 고등학교에서도 인턴사원 채용 희망업체가 대부분 영세해 정부가 지원하는 월 40만원을 임금으로 정할 가능성이 커 저임금을 우려한 구직 희망자가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안동 모 실업고 취업담당교사는 "일부 졸업생들이 구직 신청과정을 문의해 오고 있으나 재학중 실습때의 평균 임금수준인 60만원대에도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향후 정식사원 보장도 없어 실제 인턴사원 신청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영남대 경제학과 이효수 교수는 "장기적인 대량실업을 응급처치형의 실업대책으로 해결하기 보다는 실제 고용을 창출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일정비율의 인건비 증가액을 고용보험이나 정부의 실업대책 예산에서 보조하는 것이 더 실효성 있는 실업대책"이라고 주장했다.

〈趙珦來.鄭敬九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