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페리 권고안 北반응 주목

오는 23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열리는 미국과 북한과의 고위급 회담에서 윌리엄 페리 대북정책조정관이 던져놓은 대북권고안에 대해 북측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북.미 회담은 페리 조정관의 지난달 하순 방북 이후 처음 열리는 양국간의 공식대좌라는 점에서 북측이 페리권고안에 대해 어떤 형식으로든 입장을 밝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지난달 25일부터 나흘간 이뤄진 페리 방북 이후 한달 남짓한 시일이 지나도록 대북권고안에 대한 명확한 반응을 보이지 않아 왔다.

미 국무부는 그러나 이번 회담에서는 △금창리 지하시설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통보 △8월 한반도 4자회담 개최문제 △북.미 핵동결 합의 이행문제 등이 논의될 것이라는 공식입장을 밝히고 있다.

또 정부 당국은 이번 북.미 회담이 북한 금창리 지하시설에 대한 미국측의 현장조사 결과를 통보해 달라는 북측의 요청에 따라 마련된 것이라고 애써 의미를 축소하고 있다.

그러나 외교당국의 한 고위당국자는 "북한이 페리권고안에 대한 반응을 보일 의지가 있다면 이번 베이징 북.미회담을 이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미 국무부가 밝힌 통상적인 의제를 논의하는 자리라면 굳이 미국과 북한의 대표가 베이징까지 날아가 마주앉을 필요가 있겠느냐는 분석인 것이다.

북측이 이번에 반응을 보인다면 대북권고안 자체에 대한 수용 또는 거부입장보다는 페리 조정관이 방북때 제의한 북한 강석주(姜錫柱) 외무성 제1부상의 워싱턴 답방제의에 화답하는 형식을 띨 공산이 크다는게 당국자들의 관측이다.

만약 북한이 강 부상의 워싱턴 공식방문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힐 경우, 이는 페리권고안에 대한 북한의 긍정적인 신호를 간접 전달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것이다.

따라서 이번 북.미 베이징 회담은 향후 대북 포괄접근 방식의 추진방향과 속도를 가늠할 수 있는 계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카트먼 특사가 북.미회담 이후 서울에 들러 회담결과를 설명할 계획을 세운 것도 대북권고안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놓고 향후 한.미.일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