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창열(林昌烈) 경기도지사와 부인 주혜란(朱惠蘭)씨에 대한 검찰의 전격적인 소환, 조사가 이뤄지자 김대중(金大中) 대통령 집권 2기 사정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이 대두되고 있다.
검찰은 임지사 부부의 소환이 정국 풍향에 따른 의도적인 '기획사정'이 아니라 경기은행 퇴출비리 수사과정에서 주씨의 혐의가 불거져 나와 이를 처리한 것 뿐이라며 별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검찰은 주씨를 소환하기 이틀전인 지난 12일 한나라당 김태원(金兌原)전 재정국장을 전격 검거,'세풍'사건 수사를 재점화함으로써 '기획검거'가 아니냐는 지적을 받은데 이어 이번 사건도 모종의 배경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낳고 있다.
수사관계자는 "주씨가 경기은행으로부터 퇴출을 막아달라는 부탁과 함께 거액을 받았다는 혐의가 포착돼 그동안 주변 관계자들을 상대로 사실관계를 확인했었다" 면서 "조사를 끝내고 주씨를 부르려 했으나 외유중이어서 소환하지 못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주씨에 대해 사법처리를 전제로 한 내사가 오랫동안 진행돼 왔으며 주씨의 귀국을 계기로 수사 성과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그러나 임지사가 국민회의 소속 민선도지사로 정치적 비중이 적지 않아 검찰이 여권과의 교감없이 소환하기는 어렵지 않았겠느냐는 해석이 많다.
따라서 임 지사 부부가 '호화생일파티'등 온갖 구설수에 휘말려왔다는 점에서 옷로비 사건과 '파업유도'발언 파문으로 큰 타격을 입은 여권과 검찰이 이들 부부를 희생양으로 삼아 정국의 주도권과 함께 검찰의 위상을 되찾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노린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검찰로서는 임 지사 부부소환에 대한 정치적인 의미 부여를 경계하고 있지만 여권인사에 대한 사법처리를 계기로 편파 사정시비를 불식시킬 수 있고 여권으로서는'골칫거리'를 없앰으로써 내년 총선 수도권 전략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검찰 주변에서는 이번 임씨 부부에 대한 소환을 계기로 정계는 물론 관·재계에까지 일대 사정한파가 불어닥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번 임 지사 사건만 해도 이들 부부 외에 제3의 정치인 개입설이 나도는 등 언제 정치권으로 불똥이 튈 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검찰은 파업유도 발언파문 이후 '전방위 사정'의 전초작업으로 범죄 정보 수집작업을 가속화하는 한편 전국 지검·지청에 '부정부패사범 특별수사본부'를 가동하는 등 철저한 사전준비를 해왔다.
사정대상은 정치인, 고위공직자,경제계인사, 지역토호 등 소위 상류층 인사들로 고관집 절도, 옷로비 사건 등에 따른 서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 민심을 달래기위한 목적이라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