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대증권 주가 조작-수사 전망

지난 4월 금융감독원의 고발로 불거진 사상 최대규모의 현대전자 주가조작 의혹이 검찰수사 결과 사실로 드러남에 따라 엄청난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검찰은 금감원이 김형벽(金炯璧) 현대중공업 회장과 박세용(朴世勇)현대상선 회장을 증권거래법 위반(시세조종 등) 혐의로 고발한 것을 계기로 광범위한 수사를 벌여왔다.

당시 김 회장과 박 회장의 혐의는 작년 5월26일~11월12일과 6월18~30일 현대증권을 이용, 각각 1천882억원과 252억원의 회사돈을 투입, 현대전자 주식 8005만여주, 88만여주씩 집중 매입하면서 상대호가 보다 높은 가격에 매수주문을 내는 방법 등으로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렸다는 것.

현대중공업은 이런 수법으로 1만4천800원이던 현대전자 주가를 최고 3만2천원선으로 배 이상 끌어올렸고 현대상선도 2만4천200원이던 주가를 2만9천900원까지 상승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조사 결과 현대증권은 현대전자에서 직접 끌어들인 자금 100억원을 비롯해 현대중공업, 현대상선 등의 자금 2천200여억원을 동원, 3천여차례에 걸쳐 현대전자주가를 띄우기 위한 작전을 편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이에 따라 실무책임자인 박철재 현대증권 상무를 지난달 23일 구속하고 윗선의 개입 여부 및 추가 공범자를 캐기 위한 조사에 들어갔으나 이익치 현대증권회장 등 수사선상에 오른 7명은 잠적해 버렸다.

검찰은 이번 사건의 최고 책임자를 철저히 가려내 사법처리한다는 강경한 입장이어서 수사의 칼날이 어디까지 미칠지 현재로는 속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이 현대증권 주도로 이뤄졌고 주가조작 규모가 사상최대인 점을 감안할 때 이익치 회장의 경우 사법처리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또 작전에 현대중공업과 현대상선 자금이 주로 동원된 점으로 미뤄 이미 고발된김 현대중공업 회장과 박 현대상선 회장의 소환 조사가 불가피하고 법적 책임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필요하다면 정주영(鄭周永) 현대그룹 명예회장 일가도 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현대전자 주식에 대한 대규모 주가조작이 정씨 일가의 내락이나 사전인지 없이 비밀리에 이뤄지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정씨 패밀리로 수사가 확대될 경우 1차 타깃은 작전의 대상이 된 현대전자의 정몽헌(鄭夢憲) 회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

검찰 관계자는 "정씨 일가의 연결고리는 아직까지 드러나지 않았지만 주가조작을 한 사람과 시킨 사람은 모두 처벌한다는 게 검찰의 기본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 조사에서 현대전자 주식의 시세조정 기간에 91만여주를 매도, 엄청난 시세차익을 챙긴 사실이 확인됐던 정몽근(鄭夢根) 금강개발 회장을 비롯해 몽준(夢準).몽규(夢奎)씨 등에 대한 처리방향도 관심이다.

이에대해 검찰은 이들이 주가조작 사실을 인지한 상황에서 주식을 매도했다는 단서가 없어 현재로서는 조사할 계획이 없다고 밝혀 공모사실 등 특별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는 한 수사 가능성은 별로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몽근 회장의 경우 이번 사건과 별도로 지난 4월 현대의 금강산 관광개발 정보를 사전에 입수, 금강개발 주식 18만8천여주(7억3천여만원 상당)를 매입한 혐의(미공개정보 이용)로 수사의뢰된 상태이다.

검찰 주변에서는 현대전자 주가조작 사건의 윤곽이 최종적으로 드러나면 이미 구속된 박철재 현대증권 상무와 잠적중인 이익치 현대증권 회장을 포함해 현대그룹경영진과 정씨 일가 등 상당수가 사법처리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