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지역 기업들은 저금리 기조하에서도 판매단가 하락, 원화강세 등으로 기업 수익성이 오히려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상의가 76개 회원업체를 대상으로 기업 채산성실태를 설문조사한 결과 작년말에 비해 '악화됐다'고 응답한 업체가 44.7%, '작년과 비슷하다'는 응답이 23.7%로 나타나 올들어 지역 기업들이 회사경영에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채산성이 악화됐다고 응답한 업체중 39.4%는 제품판매가 하락, 19.7%는 원화강세를 원인으로 꼽았다. 반면 채산성이 개선됐다고 응답한 업체들은 '금융비용 부담경감'(36.4%)이 채산성 개선에 가장 많이 기여했다고 답했다.
작년말 대비 임금 및 고용 수준은 기계·금속제조업이 상승 39.6%, 증가 53.5%라고 답한 반면 섬유제조업은 28.5%와 4.8%라고 답해 업종간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이밖의 제조업에서 임금 및 고용 수준이 상승·증가했다는 업체는 전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원자재 가격의 경우 '상승했다'고 응답한 업체가 32.9%, '보합세'가 52.9%로 나타났다.
지역 기업들이 요구하는 적정금리 수준은 7.42%로 현 시중금리가 3% 포인트 가량 떨어져야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지역 기업들은 수출 채산성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달러당 1천223원 정도가 적정환율 수준이라고 답했으며(섬유제조업 1천239원, 기계·금속제조업 1천210원) 원화강세시 섬유제조업의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조사됐다.
제품수출단가는 전년말 보다 '상승했다'고 답한 업체는 2.2%에 불과한 반면 '하락했다'는 업체는 46.7%에 달해 수출단가 하락으로 크게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洪錫峰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