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신선한 민주화의 목소리들

국민회의와 한나라당내에서 당운영에 대한 신선한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어 일단은 당내 민주화에서는 진일보한 것이 아닌가 보여진다. 특히 국민회의에서는 지금까지 금기사안이었던 김대중대통령 2선후퇴론이나 오너체제극복론까지 거론되었다물론 여기에 대해 청와대측은 공식적으로는 대응을 하지 않고 있으나 부정적인 반응인 것 같다. 그리고 여당내 주류측에서는 '정치를 모르는 발상'이라느니 '야당적 시각'이라느니 하는 비판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수용할 것으로 보여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이번의 '목소리의 민주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일단 지금까지의 금기를 깬 민주적 진화이기 때문이다. 금기를 깼다는 것은 그만큼 민주화의 영역이 넓어졌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여권 고위층의 자체평가처럼 이러한 이야기가 나온다는 자체가 민주정당으로 진일보 한 것이 아닌가. 한나라당 역시 운영의 비민주성등이 거론 되었다.

특히 이번에 나온 1인정당청산론이나 정당시스템개혁론은 자주 거론 되었던 정당의 오너체제론이나 황제적 운영론에 대한 개선책이기도 하다. 3김정치의 대명사이기도 했던 이러한 보스정치로서는 21세기를 맞이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아무리 중지를 모아봐야 보스 한사람의 결정으로 흔들려 버리는 지금까지의 관행에 대한 반성이기도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완전하지는 않겠지만 김대중대통령이 얼마전 밝힌 상향식 공천으로 어느 정도는 개선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국민회의 주류측에서 강력히 반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2선후퇴론은 그러나 해봄직한 제도로 생각된다. 우선 김대통령이 97년 대통령후보 수락연설에서 "당의 자율성과 국회의 독립성을 높이기 위해 대통령 당선후 총재직을 사퇴 할 것"이라고 밝힌 대목이다. 특히 우리의 공동체우선주의라는 소위 아시아적 가치의 상황에서는 대통령은 자칫 황제적 대통령이나 가부장적 대통령으로 흐르기 쉽다는 역사적 경험을 갖고 있다. 다시 말해 권력의 집중현상이 심한 나라라는 의미다. 따라서 김대통령이 본 것처럼 국회의 독립성 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통령과 총재의 분리가 바람직 한 것이다. 그러나 이문제는 또 책임정치라는 측면이나 당의 정체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안맞는 모순을 안고 있다.

정치개혁은 제도등의 하드웨어부문뿐 아니라 대화와 타협이라는 소프트웨어도 개혁이 되어야 하며 동시에 원내민주화 뿐만 아니라 당내민주화도 개혁이 되어야 진정한 정치개혁이 마무리 되는 것임을 정치권은 알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