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자생 간첩단까지 설쳤다니

국정원이 적발한 간첩단 민혁당(민족민주혁명당)사건은 80년대 대학운동권을 주도했던 일부 주사파(主思派)가 친북을 넘어 자생 간첩단으로 암약해왔다는 사실에 충격을 금할길 없다. 더욱 우려되는것은 우리사회에 만연하고 있는 대북(對北)화해 무드에 편승한 기강해이로 이같은 간첩들이 더욱 용이하게 활용할수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번 사건을 통해서도 역시 명백하게 드러난건 북한의 이중성이다. 한쪽으로는 남북화해에 응하는 척하고는 실리를 챙기면서 틈만 보이면 그들의 본성인 적화통일공작을 끈질기게 지속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더욱 놀라운건 종전과는 달리 북의 포섭대상이 기성세대에서 자라나는 새세대를 겨냥, 그들을 지하조직원으로 활용, 우리의 체제전복을 꾀하고 있다는 것이다. 거기에서 그치지 않고 96년총선, 97년 지방선거때 그들의 공작금을 후보들에게 선거자금으로 대주고 당선후에도 계속 그들을 지하조직원화 하려 했다는 사실도 충격적이다. 문제는 이번에 적발된 조직이외에도 이같은 조직들이 얼마든지 더 있을 수 있는 '우리의 토양'에 있다는 사실이 개탄스럽지 않을 수 없다.

또 한가지 집고 넘어갈건 우리는 대수롭잖은 1회성의 해프닝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동·서해안의 잠수정침투 사실이다.

이번 사건도 지난해 여수로 침투했다 우리군에 의해 격침된 반잠수정내의 수첩에 적힌 전화번호가 단서가 돼 결국 간첩단을 적발해 낸 것이다. 만약 이 잠수정이 무사히 북으로 갔으면 이번 사건은 영원히 묻혔거나 상당한 공작이 이뤄진 후에 발각됐을지도 모를 일이다.더욱이 이들 간첩단 일부는 이같은 잠수정을 타고 서해안을 통해 북으로 들어가 김일성훈장을 받고 대남체제전복 지령을 받아 다시 되돌아 왔다는 사실도 이번에 밝혀졌다.

동서해안을 통해 남북왕래를 제집드나들듯 했다는 사실은 우리의 경비망이 그만큼 허술했다는 사실의 반증이다. 최전선의 경계망에 문제가 있고 우리사회의 기강해아가 위험수위라면 그 결과가 어떻게 되겠는가. 아무리 남북화해를 외치고 그들을 우리가 포용하겠다며 온갖 당근을 줘도 그들은 변치않는다는 사실을 우리는 직시해야 한다. 이번 사건이 주는 메시지가 바로 이점임을 재인식하고 그에 대한 대응책도 다각도로 강구해야 할 것이다.

다행히 주사파의 대부로 알려진 주범격의 한명이 간첩활동을 하면서 북의 노선은 김정일체제구축의 일환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고 염증을 느낀 나머지 변심, 오히려 그들을 비판 내지 공격했다는 사실은 이번 사건의 또다른 수확이자 교훈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