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앙일보, 국민회의 질의 답변서

국민회의가 대변인 명의로 보낸 공개질의서는 내용과 논리가 천박해 답변의 필요성조차 느끼지 못할 정도다. 국민회의는 중앙일보가 '홍사장의 구속이 언론 탄압'이라고 주장했다고 말하나 중앙일보는 그런 논리를 편 적이 없다.

중앙일보는 누구도 법적용에 예외가 될 수 없고 책임이 있으면 져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문제는 보광그룹에 대한 세무조사가 보광에 대한 법적책임이 없는 홍사장 개인에 대한 조사로 변질되고 정권은 이를 빌미로 중앙일보의 인사·편집권에간섭하려는 등 언론사를 길들이려 한 점이며 이를 언론탄압이라고 규정한 것이다.

중앙일보는 지난 대선 때 특정 후보를 공개지지한 적이 없지만 우리는 당시 보도내용중 일부가 특정후보에 유리한 쪽으로 작용했을 소지가 있었다는 비판을 잘 알고 있으며 이에 대해 편집국 내부에서 자성의 목소리가 있었음을 인정한다.

누가 대통령이 되면 누구는 국무총리가 되기를 밀약했다는 대목엔 아연실색하지않을 수 없다. 전혀 근거도 없는 일을 질의서에 포함시킨 행태는 중대한 명예훼손이라는 사실을 유념하기 바란다.

중앙일보에 언론자유의 목소리가 없었다는 주장에 대해선 한마디만 하겠다. 현 박준영(朴晙瑩) 공보수석이 중앙일보 재직시절 언론자유를 주장하다 당시 군부세력에 의해 해직됐다 복직된 사람중의 하나였다.

정부의 계속되는 언론탄압에 못이겨 부사장·편집국장·정치부장 자리에만 외압사실을 남기고자 전화에 녹음기를 부착했다. 중앙일보 기자들이 회사 전화를 마음놓고 쓰지 못하는 것은 내부도청 때문이 아니라 외부의 도·감청 때문이다.

중앙일보는 삼성과 분리됐으며 만약 중앙일보가 삼성으로부터 부당하게 지원받은 돈이 있다면 국세청과 금융감독원이 그냥 두고 봤겠는가.

정권을 잡으면 언론사에 압력을 가해 인사와 지면제작에 개입해도 무방하다는 것이 국민회의 입장인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