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비난여론 의식 대화모색 병행

여권은 과연 단독국회를 강행할 것인가.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한나라당의 장외투쟁과 정형근의원의'빨치산'발언 등에 격분, 사과하지 않는 한 정치 파트너로 인정할 수 없다며 내주 중 단독국회를 강행할 수 있다는 식으로 거듭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주목된다.

그러나 문건정국에 대한 비난여론에 여권 역시 적지않은 부담을 갖고 있어 국회를 강행하기가 쉽지않은 만큼 야당 측과의 물밑 접촉 등을 통해 대화 모색도 병행하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로 국민회의는 6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고위 당직자회의를 갖고 정의원에 대한 사법처리 방침과 향후 국회대책을 논의했으나 총무회담 등을 통한 협상론도 제기되는 등 변화된 분위기가 감지됐다.

이만섭(李萬燮)총재권한대행은 회의에 앞서 내주 중 단독국회 강행문제에 대한 질문에 "시기를 못박겠다는 게 아니라 국민이 단독국회에 동의할 것으로 판단되는 상황에 이르면 강행하겠다는 뜻"이라고 얼버무렸다. 즉 이를 둘러싼 여권 내 고민을 대변한 것으로 결국 야당과의 협상 여지를 남겨 둔 셈이다.

박상천총무도 전날 총무회담 직후 정의원 발언 문제와 관련, "이부영 한나라당총무와 모종의 말이 있었다"며 "당 지도부와 협의할 것"이라고 밝혀 타협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총무 역시 회담 성과는 없었다면서도 "주말에도 계속 접촉하겠다"고 밝혀 여지를 남겼다.

그러나 여당으로선 내년 총선과 맞물린 선거법 개정 등 정치개혁 협상과 예산안 처리 등이 시급하다는 점에서 야당의 원내복귀를 마냥 기다릴 수 만은 없는 처지다. 같은 맥락에서 여권이 일단 단독국회를 강행함으로써 야당의 원내복귀를 압박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역시 장외투쟁을 계속하기엔 부담이다. 비난여론은 물론 자칫 여권이 국회에서 선거법 등을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는 빌미를 줄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

때문인듯 당 방침에 대해 '원내·외 병행투쟁'이란 점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여당이 제의한 국회 안전대책특위나 정치개혁 공청회 등 일부 원내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결국 장외투쟁의 명분을 여권이 국정조사와 관련된 야당 측 요구를 거부한 데 따른 대여 압박이란 쪽으로 집중시키고 있다. 이회창(李會昌)총재도"언론탄압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만 이뤄지면 국회일정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