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신범(李信範) 의원이 8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개한 중앙일보 문일현(文日鉉) 기자의 여권인사 접촉 시도 시점이 한곳에 집중돼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이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문 기자가 국민회의 한화갑(韓和甲) 총장실, 김옥두(金玉斗) 총재비서실장실 및 의원회관 사무실, 이기호(李起浩) 청와대 경제수석실, 김하중(金夏中) 청와대 의전비서관실 등과 통화를 한 시점은 한결같이 중앙일보 홍석현(洪錫炫) 사장 기소 다음날인 지난 10월19일 오후 2시를 전후로 돼있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도대체 왜, 무슨 연유로 이날 집중적인 전화통화가 이뤄진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당시 국내상황을 보면, 보광그룹 탈세사건을 수사중인 대검 중수부는 10월2일 홍사장을 구속한데 이어 10일18일 25억2천700만원의 세금포탈 등의 혐의로 홍 사장을 기소했다.
이에 앞서 10월2일 홍 사장이 구속되자 중앙일보측은 '언론탄압'이라고 주장했으며 여야간 '언론탄압' 시비가 제기된 가운데 10월18일 문화관광위의 문화관광부에대한 국감에서는 홍 사장 구속을 놓고 여야간 치열한 공방이 벌어졌다.
특히 10월16일 국회 운영위의 청와대비서실과 경호실에 대한 국감에서는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 의원이 "홍사장 구속이 정국을 유리하게 끌고 나가기 위한 것임을 입증할 여권 문서를 대정부 질문 등을 통해 차차 밝히겠다"고 했으며, 정 의원의이러한 발언은 10월18일자 조간에 일제히 보도됐다.
이에 따라 문 기자가 비록 휴직상태이긴 하지만 자신이 소속됐던 회사의 사장이 기소된 직후 여권 인사들과 집중적으로 통화를 시도한 것은 뭔가 배경이 있지 않겠느냐는 지적이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한나라당 장광근(張光根) 부대변인은 "문 기자가 10월19일이라는 미묘한 시기에 왜 여권내 인사들과 집중통화를 시도했는지 알고 싶다"며 '국민회의-청와대-문 기자'간의 삼각커넥션 의혹규명을 요구했다.
그러나 여당측은 오히려 문 기자가 '누군가의 부탁을 받고' 홍 사장 구속 기소이후의 여권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화를 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했다.
또 국민회의 박홍엽(朴洪燁) 부대변인은 "모든 상황이 끝난뒤 통화를 시도했다는 점을 미뤄보더라도 야당의 '언론장악' 운운 주장은 허구"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