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적십자사와 북한 적십자사가 함께 추진한 재일동포 북송은 재일동포 역사에 있어서 비극중의 비극이었다. 북한과 조총련은 북송을 통해 한일회담을 방해하고 양국간을 이간시켜 북한정권을 승인받고자 했다. 일본은 재일동포 한사람이라도 더 추방하고 이를 미끼로 공산권과의 교역하고자 하는 의도가 숨어 있었다.
북송선이 출발하기 약 1년전인 1959년1월 재일동포들의 북한 송환에 대한 일본외상의 공식발표가 있자 민단측은 즉각 반대투쟁에 나섰다.
2월5일 아오모리(靑森)현과 오사카(大阪)시의 자발적인 동포 청년들이 북송반대시위 '자전거단'을 편성하고 도쿄로 출발하여 연도의 일본인에게 북송의 부당성을 호소했다. 3월3일에는 전국 45개 장소에서 10만명을 동원하여 데모행진을 하고 일본인과 동포들을 대상으로 각각 취지문과 전단 총 97만매를 자전거 또는 임대 항공기로 살포했다. 6월10일 일본적십자사와 북한적십자사간에 기본적인 합의가 성립됨에 따라 북송기지인 일본의 니가타(新潟)시에 '북송반대투쟁본부'를 설치하기로 결의했다.
민단은 그해의 광복절 기념행사를 북송반대 민중대회로서 개최키로 결정하고 중앙대회를 약 5천명의 단원이 참석한 가운데 니가타항에서 거행했다. 이날 오사카에서는 버스 50대를 동원하고 6천명이 참가해 가두데모를 하기도 했는데 일본 전국에서 데모에 참가한 사람들이 10만명에 달했다. 9월21일에는 '북송반대 단식투쟁'이 일본적십자사 본사옆 공원에서 52명이 참가해 시작됐다. 12월4일에는 일본적십자사 북송기지에 대한 원격장치가 포함된 위장폭파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민단에서는 북송반대 결사대 4백50여명이 니가타 항구로 달려가는 북송급행열차를 정지시키고 선로상에서 일본경찰과 난투극을 벌이기도 했다. 한편 정부가 북송문제의 국제제소를 제의한데 대해 일본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
이러한 민단의 거단적인 반대투쟁에도 불구하고 12월14일 드디어 제1차 북송선이 동포들을 태우고 니가타항을 떠나 북한으로 향했다. 민단 관계자는 북송반대의 의미에 대해 "민단의 반대투쟁과 조총련 소속 동포들을 대상으로 한 설득이 없었다면 이의 몇 배에 해당하는 동포들이 북송선을 타고 북한으로 가서 암울한 생활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 반대, 대통령을 지키자"…거리 정치 나선 2030세대 눈길
젊은 보수들, 왜 광장으로 나섰나…전문가 분석은?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윤 대통령 지지율 40%에 "자유민주주의자의 염원" JK 김동욱 발언
"尹 영장재집행 막자" 與 의원들 새벽부터 관저 앞 집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