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가 '배수의 진'을 치고 정부여당에 대한 총력 압박공세에 나서고 있다.
노동계가 이처럼 정부 여당과 사용자를 겨냥한 연말 대공세를 가속화하고 있는 것은 총선을 불과 넉달여 앞둔 현 시점이 최대 현안인 노조 전임자 임금지급 문제를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결말지을 수 있는 적기라고 판단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전임자 임금지급을 사실상 허용하는 내용의 노사정위원회 중재안이 노동계의 요구를 상당 부분 수용했지만 아직도 부족한 면이 많아 투쟁의 열기가 오른 이 참에 계속 밀어부쳐 정부와 사용자의 '항복'을 받아내겠다는 속셈이다.
총선이라는 무거운 짐을 안고 있는 정치권의 사정으로 볼 때 거대 정치세력으로 자리잡은 노동계가 끝까지 버틴다면 정부가 결국 손을 들지 않겠느냐는 계산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노동계는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총선 이후로 연기될 경우 노사정 역학관계에서 노동계의 힘이 빠져 협상의 주도권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는게 사실이다.
특히 대규모 사업장 위주인 민주노총에 비해 조합원 300명 이하 소규모 노동조합이 80% 가량인 한국노총의 경우 전임자 임금지급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존립자체가 위협을 받게 돼 배수진을 치고 이 문제에 매달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국노총이 '최후의 카드'로 여겨진 국민회의와의 정책연합까지 파기하고 대정부 투쟁을 선언한데 이어 17일과 23일 총파업을 강행키로 하는 등 최강수를 두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와함께 노동계가 갈수록 투쟁 강도를 높이는 저간에는 노사정위 중재안에 대한 사용자측의 반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당초 중재안이 나왔을 때 이 정도면 노동계가 받아들일만 하지 않느냐는 분석도 있었으나 경총 등 사용자측이 강한 불만을 표시하며 수용불가 입장을 천명하고 나서자 노동계 역시 이에 강력히 맞대응할 수 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즉 중재안에 대해 사용자측은 강한 반발을 하는 반면 노동계는 약한 모습을 보일 경우 앞으로의 협상이 노동계에 불리한 방향으로 전개될 소지가 있는 만큼 '맞불작전'으로 상대방의 기세를 꺾겠다는 의도인 셈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