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회전목마

식사 후에는 평소 좋아하던 맛있는 음식도 전처럼 맛있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주 당연한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지만 그 이유는 아직 밝혀진 게 별로 없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안드라스 하즈날 교수팀이 최근 이런 현상의 원인을 신경계 측면에서 밝혀줄 수 있는 연구결과를 '저널 오브 뉴로사이언스(Journal of Neuroscience)'에 발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연구팀은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음식을 먹어서 포만감을 느끼는 상태에서 음식을 먹을 경우 혀가 단 맛을 감지해내는 신호가 매우 약해지기 때문에 맛이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전의 연구에서 소량의 지방을 내장의 십이지장에 넣으면 쥐들이 마치 먹이를 많이 먹은 것처럼 행동하고 맛있는 것을 줘도 먹으려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십이지장에 지방을 넣은 뒤 혀에서 맛을 감지하는 신호와 내장에서 나오는 포만감 신호를 처리하는 뇌 부분의 신경활동을 기록, 분석했다.이 결과 다른 맛을 느끼는 신호는 내장 속에 지방을 넣기 전이나 후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단 맛을 내는 물질인 수크로스(자당)에 대한 반응신호는 정상치보다 훨씬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음식을 먹어서 포만감을 느낀 후에는 신경계가 단 맛을 감지해 내는 능력이 자동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음식이 맛없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즈날교수는 "쥐에서 나타난 이런 메커니즘은 사람에서도 똑같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