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정론'선거 이슈화

내년 1월20일 창당을 앞둔 여권 측 민주신당(가칭)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우선 창당방식과 관련, 창당 및 국민회의와의 통합을 내달 20일 하루동안 동시에 매듭짓기로 했다. 즉 국민회의가 이날 오전 당무회의 등을 통해 신당합류를 결의한 뒤 오후 신당창당 및 양당간 통합 행사를 치르기로 했다. 결국 국민회의를 해체한 후 신당을 창당하는 방식 대신 흡수통합하는 쪽으로 가닥잡게 된 셈이다. 신당이 국민회의의 법통을 계승하는 형식을 취하게 돼 국고보조금이나 선거보조금 배분상의 불이익 등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지난달 23일 64개 국민회의 사고지구당에 대한 조직책 공모에 나선 데 이어 내달초부터 전 지역을 대상으로 조직책 선정작업을 가속화, 창당대회 전까지 가능한한 많은 지구당을 창당함으로써 신당 붐을 조성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와 함께 영입작업에도 박차, 27일 최동규 전동자부장관과 박상은 대한제당사장 등 10여명의 인사들을 추가 발표한 데 이어 창당 전까지 특히, 총선 경쟁력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들에 대한 영입에 주력키로 했다.

그러나 이같은 창당방식은 신당의 대표자가 국민회의와의 합당 전에 확정돼야 한다는 난점을 갖고 있다. 즉 신당 총재를 우선 확정하고 통합행사를 거친 뒤 또 다시 총재를 추대해야 하는 것이다. 불과 몇 시간짜리 총재가 나올 수 있다. 그렇다고 김대중 대통령이 국민회의 당적을 유지한 채 신당 총재가 된다면 이중당적을 갖게 되는 셈이다.

신당 지도부에 대해선 김대통령이 최근 밝힌대로 경선없이 총재 지명을 통한 선거대책위 성격으로 구성한 뒤 총선 후 경선을 하는 식으로 매듭지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김대중 총재에 이만섭·장영신 창당준비위공동위원장이 총선까지 대표 겸 선대위원장을 맡을 것으로 관측된다. 김중권 창준위부위원장이나 이인제 고문과 이종찬·김근태·노무현 부총재 등은 각각 지역별 선대본부장으로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공천 문제와 관련해선 신당내 조직책선정위가 공식적인 기구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김대통령은 공천 기준과 관련, 당선가능성을 최우선적인 잣대로 꼽고 있다. 현역 의원들은 물론 입당의원들에게 조차 기득권을 인정하지 않는 대규모 물갈이를 감행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신당은 또한 자민련과의 합당이 무산된 만큼 총선을 앞두고 당 색깔을 개혁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특히,중산층과 서민층을 위한 정책개발에 주력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경제난 극복과 한반도 문제 등을 집중 부각시키는 등 역대 정권의 선거 단골메뉴였던'안정론'을 최대 이슈화해 나가기로 했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