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석비서관회의 현안 점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정국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합당포기 선언과 국정원장 교체를 전격 결심한데 이어 연말 연시 선거법 및 민생법안 처리, 여야 총재회담, 개각과 신당창당 등의 숨가쁜 일정을 마련하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스케줄로 분석되고 있다.

내년 1월3일 시무식 신년사를 통해 남은 임기 3년 동안의 비전과 정책구상을 제시하고 2월 20일 쯤에는 '국민과의 대화'를 통해 취임 이후 지난 2년 동안의 개혁성과를 설명할 예정으로 국민들에게 솔직한 태도로 다가서겠다는 각오다.

특히 김 대통령은 묵은 정치현안에 대해서는 가급적 올해안에 마무리짓는다는 방침을 세우고 이를 직접 독려하고 나섰다. 여권내에서도 언론문건 국정조사, 한나라당 정형근의원 처리문제, 여야간 고소·고발사건 처리, 세풍처리 등 여야간 쟁점사항에 대한 일괄해소를 추진중이다.

김 대통령은 이례적으로 일요일인 26일 오후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열었다. 묵은 현안들을 털고 새 천년을 대비하기 위해 각 비서실별로 현안들을 점검한 자리였다고 한다.

김 대통령은 "연내에 반드시 민생개혁법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새 천년의 최대 과제를 중산층과 서민생활 향상으로 삼았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김 대통령은 또 이 자리에서 "실업은 줄어들고 있지만 계약직과 임시고용이 늘어나는 추세"라면서 "내년에는 실업자 대책을 복지와 연결시켜서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3D 직종에서는 사람을 못구해 공장이 돌아가지 않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따라서 국가가 일방적으로 혜택만 주는 복지정책은 안되고 일하는 분위기를 훼손하지 않는 생산적 복지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최근 부쩍 즐겨 사용하던 '정치안정론'을 다시 내세웠다.

김 대통령은 "과거의 안정론은 권력유지를 위해 제기했지만 이제 민주주의와 개혁, 경제안정, 대북정책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야 정권교체후 첫 총선을 앞두고 김 대통령이 오랜 야당생활 동안 그토록 비판했던 '정치안정론'을 거꾸로 들고 나온데 대해 국민들은 얼마나 설득력있게 받아들일 지 지켜 볼 대목이다.

李憲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