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사고의 주범, 도로의 무법자, 화물트럭의 과속질주는 가히 살인적인 위협수준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IMF 관리체제를 겨우 벗어나면서 물동량이 급증함에 따라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요즘 국도, 지방도, 고속도로 할 것 없이 거의 모든 도로의 차선을 거의 장악하다시피하면서 위협적인 고속질주 횡포를 부리는 주범은 바로 대형화물 자동차임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승용차는 이 화물차들의 등쌀에 오금도 펴지 못하며 아예 피해버리기 일쑤인 '방어운전'에 급급한 실정인게 현실이다.
이같은 현상은 지난해 4월 물류비용절감차원에서 화물차량의 1·2차로 운행금지 조치를 풀면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단순한 경제논리에 의해 도입된 이 화물자동차 차로제한조치 해제정책은 그야말로 탁상행정의 표본으로 문제 투성이의 졸속행정임이 여실히 드러났다. 그렇잖아도 화물차들의 횡포는 과속, 차선위반, 무리한 경음기 사용 등의 위협운전으로 '도로의 무법자'로 명명된지가 오래인 판국에 마지노선이라 할 수 있는 운행차선 제한까지 풀리자 이들 차량의 횡포는 날개를 단듯 가히 '무정부상태'라 할 정도로 극심해온게 현실이다. '물류절감'의 효과가 얼마나 나타났는지는 알수 없지만 이들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비용으로 환산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그뿐 아니라 1·2차로를 대형화물차들이 가로 막고 있으면 뒤따르는 승용차의 시야를 가려 사고위험은 물론 교통흐름에까지 막대한 영향을 끼쳐 '정체현상'을 오히려 유발, '물류절감'의 수십배에 달하는 경제적 손실까지 입히고 있다는게 교통학계의 분석이다. 실제로 화물트럭 차선제한 해제이후의 교통사고 건수는 지난해 (1~9월) 전국 약 35만건으로 98년도 같은기간 약25만건에 비해 무려 40%나 급증했고 화물차량의 과속운전이 전체의 약 절반인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덤프트럭은 98%가 속도위반을 하고 있는 통계에서도 화물차의 폐해가 극명하게 드러났다찰도 뒤늦게나마 화물차 지정차로 폐지의 부작용이 심각함을 인식하고 지난해 11월부터 1차선 운행금지 방침을 발표해놓고 후속조치를 각급 경찰청에 내려보내지 않고 있는것도 석연찮다. 일부에선 화물업계의 로비에 의해 경찰당국이 엉거주춤하고 있다는 업계의 얘기도 있다.
만에 하나 이게 사실이라면 그 진상을 밝혀 관계자들의 엄중처벌이 있어야 할 것이다. 지금 전국의 소형차량 운전자들의 화물차에 대한 원성은 거의 극에 달해 있음을 교통당국은 깊이 새겨 철저한 단속은 물론 화물차 지정차로제의 즉각시행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