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당 수용 자민련 무시 한나라 참고

총선시민연대의 24일 공천반대자명단 발표에 대해 정치권은 '피플 파워'에 의한 지각 변동이 시작됐다고 보고 향후공천과정에 미칠 파장 등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민주당은 신중한 자세속에서 '흐름에 발맞추는 정당과 정치인이 돼야 한다'는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공천과정에 적극 반영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반면 자민련은 '인민재판식 여론몰이'로 규정, 명단의 의미를 일축하고 나섰으며 한나라당은 시민단체에 대해 소명자료를 요구하면서 사태추이를 지켜보고 있다◇민주당

당직개편이 완료되지 않는 등 당체제가 완전히 갖춰지지 않은 때문인지 공식적인 입장발표를 미루고 있고 주요 당직자들도 '신중한 대응'을 되풀이하면서 향후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의원들은 그러나 김 대통령이 신임 당직자들에게 임명장을 주는 자리에서 '흐름에 발맞춰야 한다'고 지적한 대목을 주시하면서 향후 공천과정에서 대폭적인 물갈이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객관성이 결여된 일부 의원을 제외하고 비리나 부정부패 등에 연루되어 명단에 포함된 인사의 경우 공천과정에 반영될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게 당내의 주된 흐름을 이루고 있다.

서영훈(徐英勳) 대표는 의원총회 인사말을 통해 "대통령의 뜻은 가능한 (명단을)존중하되, 당직이나 공천 등의 인선원칙과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라면서 "우리당으로서도 판단이 있을 것"이라고 밝혀 선별적 수용을 시사했다.

이재정(李在禎) 정책위의장도 "박상천(朴相千) 총무 등 객관성이 결여된 경우에는 공천과정에 반영할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말해 이같은 관측을 뒷받침했다.

◇자민련

자민련은 총선시민연대의 낙천자 명단 발표를 '인민재판식 여론몰이'이자 '근대화 세력과 보수세력을 말살하려는 급진·진보세력의 음해공작'이라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낙천자 명단을 공천에 활용할 가능성이 희박해 보인다.

특히 공천권을 행사할 김종필(金鍾泌) 명예총재를 비롯, 한영수(韓英洙) 박철언(朴哲彦) 이태섭(李台燮) 부총재, 김현욱(金顯煜) 사무총장, 차수명(車秀明) 정책위의장 등 지도부가 공천부적격자로 포함된 상황에서 시민단체의 리스트를 공천에 활용하는 것 자체가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김현욱 사무총장이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시민단체의 불법행위는 일고의 가치도 없다"며 검찰의 즉각적인 수사착수를 요구하고 나선 것도 이같은 당내 기류를 반영한 것이다.

다만 당 일각에서는 금품수수 등 '비리혐의' 관련에 대해선 공천과정에서 선별적으로 시민단체의 리스트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한나라당

한나라당은 아직 공천심사위의 공식구성도 미루고 있는 상황에서 개별의원들의 공천문제보다는 시민단체의 명단 발표에 대한 당 차원에서의 대응방향정립에 고심중이다.

이회창(李會昌) 총재가 시민연대의 명단발표후 긴급당직자회의를 소집, 한나라당 소속 거명자의 선정기준에 대한 상세한 소명자료를 요구한 것도 일단 민주당과 자민련 및 개별의원들의 움직임을 지켜보며 신중히 대응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총재가 이날 명단에 대한 직접적 언급을 피한채 함구로 일관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특히 당내 역학구도상 가볍게 다루기 어려운 김윤환(金潤煥) 고문, 박관용(朴寬用) 부총재, 신경식(辛卿植) 총재특보단장 등 중진 다수와 정형근(鄭亨根) 의원 등 이 총재의 핵심 브레인이 포함돼있다는 점에서 처리에 고심하고 있다이들을 공천에서 배제시킬 경우 당장 당내 분란이나 대여전략에서의 차질이 불가피하고, 그렇다고 공천을 강행할 경우 시민단체의 낙선운동 돌입 등 역풍이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이 총재측은 이에따라 "시민단체의 뜻을 존중하고 평가한다"는 전제아래 "이번에 발표된 시민연대의 자료도 공정성, 객관성 등을 검토해 공천심사에 참고자료로 삼을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을 정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