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지난 7일(이하 현지시간)부터 3일간에 걸쳐 미국 주요 기업의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연쇄적으로 발생한 컴퓨터 해킹에 대해 강력한 응징을 다짐하고 있지만 수사는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야후를 시작으로 9일까지 잇따라 벌어진 해커들의 공격은 10일 하루동안 보고되지 않았다.
에릭 홀더 미국 법무부 부(副)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사법당국이 업계 전문가들과 함께 해커수사에 나서고 있지만 "현 시점에서 솔직히 해킹의 동기가 무엇인지, 해커가 1명인지 다수인지조차 불명확하다"며 수사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홀더 부장관은 또 "예전에도 유사한 해킹이 해외의 컴퓨터를 이용해 미국에서 발생한 적이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 뚜렷한 증거는 없다 하더라도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해 수사가 해외로 확대될 것임을 내비쳤다.
그는 이번 해킹으로 인한 업계의 피해와 복구비용이 수천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면서 "이 해커들은 범죄자이며 우리는 이들을 찾아내 감옥에 보내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홀더 부장관은 이와 함께 빌 클린턴 대통령이 사이버 범죄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위해 내년 예산에 3천700만 달러를 추가 편성해 줄것을 의회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