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자연보존연맹(IUCN)이 취약종으로 고시 보호하고 있는 수달(천연기념물 제330호)이 경북 봉화군에 집단 서식(본지 2월 3일자 1면 보도) 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개체군이 몇몇 지역에 집중, 격리돼 있는데다 먹이도 어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안정적 개체군을 유지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98년부터 봉화 지역 일대 수달 서식실태를 조사하고 있는 원창만(국립환경연구원 야생동물과) 박사는 "이 지역 수달의 배설물과 발자국, 먹이 흔적 등을 분석한 결과, 개체군의 크기가 가장 큰 지역에는 3~5마리 정도가 서식하는 것으로 보이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2, 3마리씩 격리돼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원 박사는 특히 "지난 98년도에 배설물과 족적이 많이 발견된 일부 지점에서 배설물 등이 전혀 관찰되지 않는 등으로 미뤄 서식지가 축소되고 있다"며 "사람들의 출입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수달 개체군이 몇몇 지역에 집중, 격리되어 있어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개체군을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 일대 4개지역에서 수거한 수달 배설물(87점)을 통해 먹이습성을 분석한 결과, 양서류가 50~60%, 갑각류가 30~40% 등의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수달이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먹이 자원인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10~15%정도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 박사는 "이는 수달이 먹이자원을 포획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에너지 균형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수달의 생존에 악영향을 미쳐 수달 개체군 보호를 위해 심각한 상황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원 박사는 "수달을 보호하고 개체군 유지를 위해서는 먹이자원 보전과 서식지에 대한 파괴를 막기 위한 보호구역 지정과 함께 오염저감, 밀렵이나 포획 단속 강화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보호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환경단체에서는 특히 봉화군과 새천년준비위원회에서 추진중인 이 지역 국민관광지 개발 계획과 반딧불이 마을 조성사업시 수달 서식지 보호대책 등이 충분히 마련된 이후 개발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봉화·金振萬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