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자체 '습지 망치는 골재 채취'

철새보호 등을 위한 하천습지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나 지역의 일부 자치단체가 자체 수익사업을 앞세워 마구잡이로 골재채취를 하고 있어 하천습지 훼손이 심각하다.

더욱이 습지보존에 대한 환경정책이 자치단체간 이해에 따라 서로 달라 생태계 보전을 위한 정책이 일관성을 잃는 등 갈팡질팡하고 있다.

지난해 대구시의 습지보존 요청에 따라 달성군은 달성습지를 끼고 있는 낙동강 일대에 대한 골재채취를 중단키로 했으나 최근 수익사업에 필요하다며 이지역에 대한 골재채취를 올 연말까지 1년간 연장키로 하는등 대구시와는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달성군은 지난해 골재 채취 목표량 166만3천㎥중 60만2천㎥를 채취, 37억원의 수익을 올렸는데 올해는 달성습지 일부분인 화원읍 구라리에서 21만3천㎥ 등 군내 6개 지구에서 모두 156만6천㎥의 골재를 추가로 채취하기로 했다.

또 경북도도 지난해 골재 1천400만㎥를 생산해 111억원의 수익을 올렸으나 올해는 전국 수급계획량(1억5천900만㎥)의 15%인 2천370만㎥를 채취, 채취량을 69%이상 대폭 늘리기로 했다.

경북 고령군의 경우만 해도 올해 달성습지를 형성하는 곽촌지구를 포함, 군내 골재채취장 6곳에서 지난해(145만㎥) 보다 늘어난 149만8천㎥를 채취하기로 해 자연생태계의 보고인 습지의 훼손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습지는 하천을 자체 정화하고 호우시엔 범람을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수많은 생물종의 서식처로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나 환경정책을 담당하는 자치단체가 이를 외면해 오히려 생태계가 파괴되는 결과를 빚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경북도 관계자는 "골재채취는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거쳐 자연환경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신중하게 추진하게 된다"고 말했다.

李宗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