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산모 초유서 다이옥신 검출

산모의 분만 후 최초 모유인 '초유'에서 환경호르몬 물질인 다이옥신이 하루 섭취허용량의 24∼48배 가량 검출됐다.

또 71년에 국내사용이 금지된 살충제인 DDT의 변형물질인 DDE가 지금도 인체에서 검출되고 있으며 유방암환자의 혈청중 DDE 검출농도가 일반인에 비해 50%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喚穩脩?29면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의 '99년도 내분비계장애물질(환경호르몬) 평가사업' 내.외부 용역 연구결과를 15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명수 박사팀이 지난해 7∼9월 서울 강남에 거주하는 초산모 36명과 재산모 23명으로부터 채취한 초유의 다이옥신 농도조사 결과, 그 수준은 평균 31.78pgTEQ/g fat(범위 2.02∼162.268pgTEQ/g fat)로 나타났다.

pg은 1조분의 1g으로 이는 지방 1g당 31.78pgTEQ의 다이옥신이 검출됐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다이옥신의 국내 하루섭취허용량(TDI)인 체중 1㎏당 4pg의 24∼48배에 달하는 것이다.

초유의 다이옥신 수치는 또 분유와 우유중 다이옥신 잔류수준이 각각 0.002, 1.41pgTEQ/g fat 인 점을 감안하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박귀례 독성연구소 생식독성과장은 그러나 "유아의 초유섭취가 길어야 6개월에 불과한데다 초유의 다이옥신이 매월 10% 이상씩 감소하므로 유아에게 초유를 먹이더라도 별다른 악영향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강숙 가톨릭의대 교수팀이 유방암환자군과 대조군(개복수술환자군) 각 50명에 대해 혈청중 DDE 평균농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유방암환자군의 농도가 2.51ppb(㎍/㎏)로 대조군의 1.68ppb에 비해 50% 가량 높게 검출됐다.

DDE는 지난 71년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인 DDT의 변형물질로 DDT의 반감기는 40년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