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초.중.고교의 영어 수업을 연차적으로 영어만으로 진행하기로 했다고 교육부가 밝혔다. 영어를 잘 한다는 것이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의 필수 조건이 돼버린 현 시점에 교육부가 이처럼 영어 교육을 강화하기로 결단을 내린 것은 때 늦으나마 당연한 것이다.
더구나 많은 학부모들이 초.중.고 등 공교육기관의 영어교육에 만족하지 못하고 사설 학원이나 과외 학습에 매달리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영어 교육을 좀 더 알차게 하겠다는 교육부의 계획에 "이제 영어 교육이 제대로 되는구나"하는 기대마저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부가 모처럼 내놓은 야심찬 계획도 세심하게 따져보면 전문교사와 교재 확보면에서 부실하기 그지 없어서 정부가 과연 영어 교육에 대한 열의를 갖고 있는지조차 의심스런 면이 없지 않다.
교육부는 내년부터 영어 교육 정상화 계획을 시행한다고 밝히고 있으나 교사확보 문제가 우선 겉돌고 있다.
97년 초등학교에서 영어교육이 시작되면서 일부 영어 전담교사가 채용되긴 했지만 대부분의 경우 담임 교사가 영어교육을 맡고 있다. 이들 교사들은 고작 120시간 단기 교육을 받고 영어교육을 맡고 있으니 이런 수준에서 어떻게 '영어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는지' 걱정스럽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