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앙지하상가 개발 법정 비화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 정부가 독도를 지키지 못하면 국민이 할 것이다"

지난 1998년 신한일어업협정 이후 독도 주변 해역이 중간수역으로 편입돼 사실상 한일 양국이 공동관리하고 있는 가운데 네티즌들이 정부의 소극적 독도 정책을 비난하며 일제히 '사이버 시위'를 벌여 관심을 끌었다.

'민족자주와 독도주권수호를 위한 네티즌 연대회의 준비위'는 22일을 '독도주권 수호 행동의 날'로 정하고 이날 PC통신 게시판과 청와대·외교통상부·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 인터넷 홈페이지에 독도 관련 의견을 각각 수백건씩 올리는 등 집단적인 의사 표시에 나서는 사이버 시위를 벌였다. 22일은 지난 1905년 일본이 독도를 '다케시마'로 바꾸고 시마네현 부속 도서로 결정한 날이다.

하이텔 아이디 'YIYAP'은 PC통신 게시판에 올린 의견에서 "일본이 독도를 부속 도서로 편입시켜 일본인 호적까지 등록시키고 관공서에 현수막까지 게시해 놓는 등 독도 강탈 수순을 밟고 있으나 정부는 일본과의 외교마찰을 빌미로 국민들의 독도 방문을 막는 등 굴욕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정부를 비난했다.

그는 또 "독도는 한국이 실효적 지배를 하고 있는 암석덩어리가 아닌 피 같은 영토이므로 이 사실을 전 세계에 널리 홍보하고 일본에게는 항의 정도가 아닌 강력한 경고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동우씨는 청와대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린 게시물에서 "일본이 주권 침탈 행위를 서슴지 않고 있는데도 정부는 무대책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단호하고 실질적인 영토 보전 의지를 국민 및 대내외에 천명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독도의 날을 지정하고 독도 관련 상품을 만들어 홍보 활동을 벌이자'거나 '수학여행 코스에 독도를 포함시키자'는 제안이 게재되는 등 이날 하루 동안 PC통신과 정부 부처 인터넷 홈페이지엔 수백여건씩의 독도 관련 게시물이 올라왔다.

네티즌 연대회의는 앞으로 △독도 바로 알기 운동 △국제사회 독도 바로 알리기 운동 △정부 독도정책 올곧게 세우기 운동 △민족자주권 수호와 일제 잔재 청산운동 등을 벌여나가기로 했다.

李宗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