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물 주산지인 대구· 경북 지역에서 직물의 수출비중이 갈수록 낮아져 신제품 개발과 시장 다변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이 지난해 우리나라 섬유류 수출입 동향을 분석한 결과 직물 수출은 약 33억달러로 98년 36억달러에 비해 10% 정도 감소했다. 이는 지난 95년 직물 수출이 48억달러에 이르렀던 것을 감안하면 수출 감소 현상이 갈수록 심각함을 보여준다(도표참조).
더욱이 전국 직물 수출 중에서 대구 경북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95년 거의 절반 수준에서 지난해는 36.1%로 낮아져 직물 주산지의 위상이 매년 위축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우리나라 직물 수출은 3.7% 증가했으나 지역의 직물 수출은 10%나 줄었다.
지난해 지역의 섬유 수출구조는 섬유사에서 직물로 이어지는 중간제품 의존도가 심해 고부가가치 상품의 개발이 절대적으로 요구됨을 반증하고 있다.
한편 대구 경북 지역이 차지하는 전체 섬유류 수출 비중도 98년 25.6%에서 99년에는 23.2%로 낮아졌다.
崔正岩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